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내년도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전망은 어떤가요?

2024년은 미국을 비롯해서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하했잖아요.

2025년도 그 추세가 이어질 거 같은데 내년도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전망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내리는만큼 계속해서 내릴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소한 두 번 정도에서네 번 정도까지는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 12월 앨런은 FOMC에서 2025년 금리 인하 계획을 4번에서 2번으로 줄일 것이라고 시사한 적이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과도한 재정 정책을 활용하여 물가상승을 높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금리 인하의 속도는 더디게 진행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내년에 미국은 금리를 2번 인하할 예정입니다.

    • 기존에는 4회였지만 2회로 하락하게 되면서 향후 금리가 더 높게 유지될 전망입니다.

    • 우리나라는 미국의 눈치를 보기 때문에 금리를 더 내릴 수 없고 금리를 동결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미국 연준에선 2025년 기준금리 인하를 2차례 하겠다고 했는데, 경기침체 우려 신호가 없다면 2차례 이하로 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기준금리가 이미 역전되어 있는데, 미국보다 더 많이 기준금리 인하하긴 어렵고 그와 비슷하게 진행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내년도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은 연준에서 두 번 내린다고 선포했고

    우리나라 역시도 기준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모두

    내년에는 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더 높아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제일 최근의 FOMC기준으로는 내년에 2번 차레의 금리인하가 예상됩니다. 원래는 더 많았는데 좀 더 줄었습니다. 그래서 최근 FOMC의 금리결정 발표 이후 자산시장이 크게 내렸고요.

    우리나라는 잘 모르겠습니다. 상식적으로는 미국보다 더 많이는 못 내릴거고, 같거나 더 적을건데 그럼 2번이나 1번이 될거 같습니다. 근데 결국 내년 돼서 데이터가 바뀌고 하면 미국도 더 내릴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2회 정도 인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도 인하를 해야하나 이미 미국과 금리차가 1% 넘게나는 상태여서 미국보다 인하를 많이 하기에는 위험할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에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기준금리 인하를 할 예정입니다 미국은 현재 기준금리 4.50% 에서 25비피씩 2번 인하한 4.00프로까지 내릴거라는게 전문가들 예상입니다

    우리나라는 올해 2-3차례 인하를 해서 현재 3.00프로인 기준금리를 2.25~2.50 프로 수준으로 낮출거라는게 경제 전문가들 예상입니다

    그럼 올해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2024년 한국과 미국은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 등을 이유로 금리 인하를 단행하였고, 2025년에도 이러한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최종 금리가 2025년 하반기까지 2.25~2.7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경제 성장 둔화에 대응하고 가계와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미국 역시 2024년 말 기준금리를 4.25 ~ 4.50% 범위로 조정한 가운데, 2025년에는 3.5% 수준까지 추가 인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3.50 ~ 4.40% 범위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연준이 물가 안정과 경기 부양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정책을 지속할 것임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미국 모두 경제 성장 둔화와 물가 안정이라는 공통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각국의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 추이에 따라 금리 정책은 조정될 수 있으므로, 경제 지표와 중앙은행의 발표를 꾸준히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과 우리나라의 금리는 상반기에는 하락할 것이라고 보이며, 후반기에는 하락한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상황에 따라 변동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