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향기좋은민들레285
향기좋은민들레28523.05.01

고대인들이 어떻게 천문학적 지식을 활용했을까요?

고대인들이 천문학적 관측을 통해 선박항해, 농경,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했다 하는데요 어떤 도구와 방법을 사용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대에 아직 달력이 개발되지 않았을때

    고대인들은 별자리 관찰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알 수 있다는 사실을 게 되었습니다.


    지구의 공전으로 인한 별자리 변화로 계절을 파악하는건

    과학적으로 타당한 것입니다.

    그래서 별의 위치 변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해

    현재의 계절이나 기상변화등을 미리 예측하려고 했던겁니다.


    특히 달의 영향을 크게 받은 조수-간만(밀물 썰물)의 변화는

    바닷가나 강 하구에 많이 살았던 고대인들에겐 날씨 이상으로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달의 차고 기움을 관측하여

    미리 밀물이 몰려올때라든지 그 밀물이 얼마나 차올라 올지를

    예측해 대비할 수 있었던 겁니다.


    이러한 천문 관측의 발전은 결국 달력을 탄생시켰습니다.

    달력은 바로 이런 고대 천문 관측의 지식이 쌓여 완성된

    결과물이지요.


    그 밖에도 별이나 달의 움직임과 위치에 따른 계절이 변하는

    사실은 고대인들에게 새로운 믿음 한가지를 주었지요.

    별의 움직임으로 계절만이 아니라 인간세상의 미래를 읽을 수

    있다고 믿었던 겁니다. 그래서 천문학 관찰은 근대 과학 이론이

    수립되기 전까지는 종교적으로 큰 의미를 내포하기도 했답니다.


    그런 연유로 천문 관측은 계절 변화만이 아니라 국가 대사의 길흉을

    점치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서 우리나라의 경우 고인돌의 시대 부터

    조선왕조때 까지 정책적으로 천문관측이 추진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조선시대에는 일식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해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조선 세종 실록에 보면 천문 관측 관리가 예측한 일식 시간이 몇시간

    틀리는 바람에 곤장을 맞았다는 기록이 있지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