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Youangel
Youangel

우리나라가 이집트와의 산업 협력 분야는 어떤 것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지금 이재명 대통령께서 이집트 정부와 외교를 진행 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 이집트와는 우리나라가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주요 산업 협력 분야는 어떤 것이 될지 궁금합니다. 지금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많은 기업 총수들이 이집트를 방문하고 있는데요. 특히 어떤 분야에서 이집트와 시너지가 날 것인지 경제 정책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재 이집트에 자사 공장을 세워 TV 등 전자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세계 무역의 허브로 이용하고 있으며 현대차도 현지 자동차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방산, 에너지 등도 기술협력과 투자 등으로 교류중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이집트는 제조업, 방산, 원전, 신재생에너지, ICT, AI, 철도, 건설, 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협력해왔고, 특히 대기업들이 철도 및 스마트 제조, 방산 공동생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매우 좋은 질문입니다.

    한국과 이집트는 전략적 경제협력 관계를 강화 중이며, 특히 양국은 제조업, 에너지, 수자원, 전기차, 전자산업 등에서 강한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한국이 이집트의 상하수도, 수처리 시스템 등 물 산업에 투자하거나 재생에너지, 그린테크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과 이집트의 지속가능 성장 전략이 좋은 협력 중 하나죠 전체적으로 보면 이집트의 전략적 위치와 인프라, 그리고 한국의 기술력이 결합되면 자동차·전자 제품의 지역 수출 거점이 될 수 있고, 동시에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 사업에서 장기적 공동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이집트와 협력하는 산업 분야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표적으로 양국 간에 협력을 이루고 있는 것에는 바로

    방산 분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가자지구 재건 사업도 협력하기로 했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이집트는 무역 관계가 강화되고 있으며 양국 간 교역 규모는 이미 상당한 수준입니다. 주요 협력 분야로 전기차 산업, 정보통신기술, 에너지 및 인프라 개발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재생에너지, 디지털 전환(인공지능, 스마트시티). 자동차 EV 제조, 의료 바이오 기술에서 시너지가 기대가 되는 중입니다. 한국 기업들 (삼성, 현대차 등)은 이집트에 제조 생산 기지를 구축해 메이드 인 이집트 제품을 중동과 아프리카 시장으로 수출하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이집트와 K방산 신뢰도에 기반해 K-9 자주포 공동생산에서 고등 훈련기·대전차무기체계 등으로 확장하기로 했고, 경제자유구역(EZ)에 대한 협력도 확대해 산업·투자·기업 활동 기반을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집트는 대규모 인프라, 신도시 개발을 진행중이라 건설, 플랜트, 전력 인프라에서 한국 기업과 협력 여지가 큽니다.

    또한 방산, 조선, 자동차 CKD 생산 등 제조업 이전 및 기술 협력 수요가 높아 경제사절단의 방문이 활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현재 우리나라 제조업기업들은 이집트의 제조업 생태계와 공급강화에 관심을 두고있습니다 특히 전자제품이나 산업기계측면에서요

    이집트를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동국가로의 수출기지로 활용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통인프라 철도와 지하철 건축에도 한국기업이 이미참여하고있어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입니다

    나머지 사업분야로는 

    전기차와 압축천연가스 유지보수기술 전수

    핵발전 인프라

    한국의 수처리기술 수자원

    의료장비 및 바이오 산업

    등을 통해

    게이트웨이 전략-수출기지로 활용

    가치사슬강화- 생산거점 구축으로 비용절감

    지속가능성 안보및 전략적 협상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