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 속 왕의 이름을 보면 뒤에 '조'가 오기도 '종'이 오기도 하는데요. 이는 후대의 후손들이 붙여주는 호칭인데 '묘호'란 왕이 죽은 후에 후손들이 붙이는 이름이고 창업한 왕은 조(祖), 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宗)이 기본 관례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고려 왕 계보 중 '조'를 쓰는 건 건국왕 태조가 유일하고 나머지 왕들은 전부 종입니다.
그러나 예외 없는 법칙은 없둣이 , 고려 왕 계보를 보면 이원칙이 잘 지켜지나 조선 왕 계보부터 이 원칙이 무너집니다. 조선애서 처음 이 관례를 어긴 묘호는 세조입니다. 훗날 세조의 묘호를 논할 때 아들인 예종이 '조'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선왕인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그 뒤에 등극한 새로운 왕이니 새로운 왕조를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논리이죠. 거기에 세종의 정신을 이었다는 의미로 세종의 세(世)가 더해져 '세조'라고 쓰게됩니다. 이렇듯 조선 시대에는 왕권을 강화하거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후대 왕이 선대 왕의 묘호를 종에서 조로 높이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바로 영조, 정조, 순조도 원래는 영종, 정종, 순종이었지만 철종이 순종을 순조로 높이고 고종이 직계 혈통인 영종과 정종을 영조와 정조로 높이게 됩니다. 이렇듯 종,조의 구분은 후대왕의 의지에 따라서 결정되기도 해서 약간의 혼란이 일어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