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냉철한말
냉철한말22.11.19

과거 군주의 이름에 '조' 혹은 '종'은 어떻게 붙여지게 되나요?

조선시대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왕의 이름을 보면 세조, 광종,태조 등 뒤에 '조'나 '종'으로 끝나는데 이는 후대에 붙여주는거라 들었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정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가 붙은 왕은 나라를 건국했거나 공이 있으면 조로하고 덕이 있는 임금은 종으로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쉽게 답변 드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체로 나라를 세운 업적이 있거나 국난을 극복하거나 반정을 통해 나라의 정통을 다시 세운 왕에게는 ‘조’의 묘호를,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하거나, 나라를 다스린 덕이 있거나, 선왕의 뜻을 잘 계승한 왕에게는 ‘종’의 묘효를 붙였다고 합니다.

    대체로 '조'가 '종'보다 더 높은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데, 논란이 있을법한 '세조'의 경우 아들인 예종이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아버지인 '세종'보다 더 높은 '조'를 붙이는 것에 대한 반대) 진행을 시켰다고 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 속 왕의 이름을 보면 뒤에 '조'가 오기도 '종'이 오기도 하는데요. 이는 후대의 후손들이 붙여주는 호칭인데 '묘호'란 왕이 죽은 후에 후손들이 붙이는 이름이고 창업한 왕은 조(祖), 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宗)이 기본 관례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고려 왕 계보 중 '조'를 쓰는 건 건국왕 태조가 유일하고 나머지 왕들은 전부 종입니다.

    그러나 예외 없는 법칙은 없둣이 , 고려 왕 계보를 보면 이원칙이 잘 지켜지나 조선 왕 계보부터 이 원칙이 무너집니다. 조선애서 처음 이 관례를 어긴 묘호는 세조입니다. 훗날 세조의 묘호를 논할 때 아들인 예종이 '조'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선왕인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그 뒤에 등극한 새로운 왕이니 새로운 왕조를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논리이죠. 거기에 세종의 정신을 이었다는 의미로 세종의 세(世)가 더해져 '세조'라고 쓰게됩니다. 이렇듯 조선 시대에는 왕권을 강화하거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후대 왕이 선대 왕의 묘호를 종에서 조로 높이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바로 영조, 정조, 순조도 원래는 영종, 정종, 순종이었지만 철종이 순종을 순조로 높이고 고종이 직계 혈통인 영종과 정종을 영조와 정조로 높이게 됩니다. 이렇듯 종,조의 구분은 후대왕의 의지에 따라서 결정되기도 해서 약간의 혼란이 일어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