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를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반지하가 우리나라에만 있다고 들었는데 정말인가요? 반지하는 비가 많이 오면 정말 위험하잖아요. 이런 반지하를 만든 까닭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70~80년에는 서울에 인구가 집중되기 시작했고 그에 비해 주택공급은 많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당시 용적률, 건폐율을 최대로 하여 건물을 지을 경우 반지하는 층수산입이 되지 않고, 용적률 산정시에도 포함되지 않았기에 동일 건물에 더 많은 세대수 임대차가 가능하였던게 반지하등이 많아진 이유이기도 합니다, 현재는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진 만큼 아파트 공급량도 많아졌고 반지하에 대한 수요자체가 거의 없기에 점차 없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쟁이후 반공목적으로 반지하가 지어졌는데 어느날부터 용도가 주거로 바껴버렸습니다
주로 단독주택이나 다가구주택에 반지하가 남아있는데 이주택들을 새로 짖는다면 반지하가 사라지겠지요
반지하가 장마철에는 침수때문에 위험하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층은 층수와 연면적에 포함되지 않아 건축주(소유주)는 지층을 건축 합니다.
반지하는 대피공간으로 건축이 되기도 했고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되기도 했습니다.
신축건물들은 지층을 건축하기보다는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1층을 피로티 형태로 건축하여 주차공간을 확보 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반지하는 원래 전쟁시를 대비하여 대피공간으로 만들었다가 수도권 인구집중으로 주거형태로 바뀐것으로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