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6

5만원권의 신사임당의 어떤 사람인가요?

5만원권의 신사임당은 어떤사람인 어떤 일을 하여 5만원권에 새겨졋는지 알고싶습니다.

신사인당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신사임당은 조선 최초의 여성 문인이자 화가였습니다. 학문과 글쓰기를 잘하며 어릴 적부터 시와 그림에 재능이 뛰어났습니다.

    평산신씨로 강릉 오죽헌에서 율곡 이이를 낳았으며 율곡 이이의 모친입니다.

    그녀는 통찰력과 판단력이 뛰어나고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예술가로서 그녀의 그림, 글씨, 시는 매우 섬세하고 아름다워작품으로는 <자리도> <산수도> <초충도> <노안도><연로도><요안조압도>와 6폭초서병풍 등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예리한밀잠자리144
    예리한밀잠자리14423.02.26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신사임당은 1504년 조선 강원도 강릉 죽헌리 북평촌에서 출생했다. 사임당 신씨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다. 선시대 중기의 성리학자 겸 정치인 율곡이이 화가 이매창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그는 어릴적 자수와 바느질 그림과 시에 놀라운 재능을 보였다. 일곱살때 화가 안견의 그림을 본따 그려 주위를 놀라게 했다. 특히 산수화,포도,풀,벌레 등을 잘 그렸다고 한다.


    여성이었으나 성리학(유교)적 지식과 도학, 문장, 고전,역사 지식 등에 해박하여 어버지 신명화나 남편 이원수를 찾아온 사대부를 놀라게했다. 신사임당은 덕수이씨의 이원수와 결환하여 5남 3녀를 두었으며 율곡 이이는 신사임당의 셋째 아들이다. 율곡이이는 성리학자이자 중,후기 서인과 노론 당의 사상적인 시조였다. 다섯 째 아들 이우는 정3품, 장녀 이매창은 작은 신사임당,소사임당이라고 불리기도했다.



    그의 명언으로는 '말은 망령되게 하지 말아야 한다. 기품을 지키되 사치하지 말고, 지성을 갖추되 자랑하지 말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사임당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리니 참고 하셔서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연산군 10)∼1551(명종 6). 시·글씨·그림에 능하였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여류 예술가.

    본관은 평산(平山).

    1. 출생과 성장

    아버지는 명화(命和)이며, 어머니는 용인이씨(龍仁李氏)로 사온(思溫)의 딸이다. 조선시대의 대표적 학자이며 경세가인 이이(李珥)의 어머니이다. 사임당은 당호이며, 그밖에 시임당(媤任堂)·임사재(妊思齋)라고도 하였다. 당호의 뜻은 중국 고대 주나라의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太任)을 본받는다는 것으로서, 태임을 최고의 여성상으로 꼽았음을 알 수 있다. 외가인 강릉 북평촌(北坪村)에서 태어나 자랐다.

    아버지 명화는 사임당이 13세 때인 1516년(중종 11)에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는 나가지 않았다.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었으나 1519년의 기묘사화의 참화는 면하였다. 외할아버지 사온이 어머니를 아들잡이로 여겨 출가 후에도 계속 친정에 머물러 살도록 하였으므로, 사임당도 외가에서 생활하면서 어머니에게 여범(女範)과 더불어 학문을 배워 부덕(婦德)과 교양을 갖춘 현부로 자라났다.

    서울에서 주로 생활하는 아버지와는 16년간 떨어져 살았고, 그가 가끔 강릉에 들를 때만 만날 수 있었다.

    2. 출가후의 생활

    19세에 덕수이씨 (德水李氏) 원수(元秀)와 결혼하였다. 사임당은 그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아들 없는 친정의 아들잡이였으므로 남편의 동의를 얻어 시집에 가지 않고 친정에 머물렀다.

    결혼 몇 달 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친정에서 3년상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갔으며, 얼마 뒤에 시집의 선조 때부터의 터전인 파주 율곡리에 기거하기도 하였고,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백옥포리에서도 여러 해 살았다. 이따금 친정에 가서 홀로 사는 어머니와 같이 지내기도 하였으며, 셋째 아들 이이도 강릉에서 낳았다.

    38세에 시집살림을 주관하기 위해 아주 서울로 떠나왔으며, 수진방(壽進坊:지금의 壽松洞과 淸進洞)에서 살다가 48세에 삼청동으로 이사하였다. 이해 여름 남편이 수운판관 (水運判官)이 되어 아들들과 함께 평안도에 갔을 때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3. 자질과 재능

    사임당이 지향한 최고의 여성상은 태임으로 그녀를 본받는다는 뜻으로 당호를 지었는데, 사임당을 평한 사람들 중에는 그의 온아한 천품과 예술적 자질조차도 모두 태임의 덕을 배우고 본뜬 데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하였다. 그것은 이이와 같은 대정치가요 대학자를 길러낸 훌륭한 어머니로서의 위치를 평가한 때문이다.

    그러나 사임당은 완전한 예술인으로서의 생활 속에서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을 성숙시켰던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그는 조선왕조가 요구하는 유교적 여성상에 만족하지 않고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생활을 스스로 개척한 여성이라 할 수 있다. 그가 교양과 학문을 갖춘 예술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그의 천부적인 재능과 더불어 그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북돋아준 좋은 환경이 있었다. 그의 재능은 7세에 안견 (安堅)의 그림을 스스로 사숙(私淑)하였던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 그녀는 통찰력과 판단력이 뛰어나고 예민한 감수성을 지녀 예술가로서 대성할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감회가 일어나 눈물을 지었다든지 또는 강릉의 친정어머니를 생각하며 눈물로 밤을 지새운 것 등은 그녀의 섬세한 감정이 남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4. 그림재능

    그녀의 그림·글씨·시는 매우 섬세하고 아름다운데, 그림은 풀벌레·포도·화조·어죽(魚竹)·매화·난초·산수 등이 주된 화제(畵題)이다. 마치 생동하는듯한 섬세한 사실화여서 풀벌레 그림을 마당에 내놓아 여름 볕에 말리려 하자, 닭이 와서 산 풀벌레인 줄 알고 쪼아 종이가 뚫어질뻔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녀의 그림에 후세의 시인·학자들이 발문을 붙였는데 한결같이 절찬하기에 주저하지 않았다. 그림으로 채색화·묵화 등 약 40폭 정도가 전해지고 있는데 아직 세상에 공개되지 않은 그림도 수십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글씨재능

    글씨로는 초서(草書) 여섯폭과 해서(楷書) 한폭이 남아 있을 뿐이다. 이 몇 조각의 글씨에서 그녀의 고상한 정신과 기백을 볼 수 있다.

    1868년(고종 5) 강릉부사로 간 윤종의(尹宗儀)는 사임당의 글씨를 영원히 후세에 남기고자 그 글씨를 판각하여 오죽헌에 보관하면서 발문을 적었는데, 그는 거기서 사임당의 글씨를 “정성들여 그은 획이 그윽하고 고상하고 정결하고 고요하여 부인께서 더욱더 저 태임의 덕을 본뜬 것임을 알 수 있다.”고 격찬하였다.

    그녀의 글씨는 그야말로 말발굽과 누에 머리〔馬蹄蠶頭〕라는 체법에 의한 본격적인 글씨인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절묘한 예술적 재능에 관하여 명종 때의 사람 어숙권(魚叔權)은 《패관잡기》에서 “사임당의 포도와 산수는 절묘하여 평하는 이들이 ‘안견의 다음에 간다.’라고 한다. 어찌 부녀자의 그림이라 하여 경홀히 여길 것이며, 또 어찌 부녀자에게 합당한 일이 아니라고 나무랄 수 있을 것이랴.”라고 격찬하였다.

    그녀의 여섯 폭짜리 초서가 오늘까지 전해진 경과를 보면, 사임당의 넷째 여동생의 아들 권처균(權處均)이 이 여섯폭 초서를 얻어간 것을 그 딸이 최대해(崔大海)에게 출가할 때 가지고 가 최씨가문에서 대대로 가보로 전하였다.

    그런데 영조 때에 이웃 고을 사람의 꾐에 빠져 이를 빼앗겼다가 어렵게 되찾아 그뒤 최씨집안에서 계속 보관하게 된 것이다. 지금도 강릉시 두산동 최씨가에 보관되어 있으며, 윤중의에 의하여 판각된 것만이 오죽헌에 보관되어 있다.

    6. 예술적 환경

    사임당으로 하여금 절묘한 경지의 예술세계에 머물게 한 중요한 동기로 내세울 수 있는 것은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는 현철한 어머니의 훈조를 마음껏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가졌다는 점을 들 수 있고, 둘째는 완폭하고 자기주장적인 유교사회의 전형적인 남성 우위의 허세를 부리는 그러한 남편을 만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녀의 남편은 자질을 인정해주고 아내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도량 넓은 사나이였다는 점이다. 먼저 그의 혼인 전 환경을 보면 그의 예술과 학문에 깊은 영향을 준 외조부의 학문은 현철한 어머니를 통해서 사임당에게 전수되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무남독녀로 부모의 깊은 사랑을 받으면서 학문을 배웠고, 출가 뒤에도 부모와 함께 친정에서 살았기 때문에 일반 여성들이 겪는 시가에서의 정신적 고통이나 육체적 분주함이 없었다. 따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소신껏 일상생활과 자녀교육을 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어머니에게 훈도를 받은 명석한 그녀는 천부적 재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었다. 그녀가 서울 시가로 가면서 지은 〈유대관령망친정 踰大關嶺望親庭〉이나 서울에서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지은 〈사친 思親〉 등의 시에서 어머니를 향한 그녀의 애정이 얼마나 깊고 절절한가를 알 수 있다. 이것은 어머니의 세계가 사임당에게 그만큼 영향이 컸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유교적 규범은 여자가 출가한 뒤는 오직 시집만을 위하도록 요구하였는데도 그것을 알면서 친정을 그리워하고 친정에서 자주 생활한 것은 규격화된 의리의 규범보다는 순수한 인간본연의 정과 사랑을 더 중요시한 때문일 것이다. 그녀의 예술속에서 바로 나타나듯이 거짓없는 본연성을 가장 정직하면서 순수하게 추구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예술성을 보다 북돋아준 것은 남편이라 할 수 있다. 사임당이 친정에서 많은 생활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남편과 시어머니의 도량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남편은 사임당의 그림을 사랑의 친구들에게 자랑을 할 정도로 아내를 이해하고 또 재능을 인정하고 있었다.

    또 그는 아내와의 대화에도 인색하지 않아 대화에서 늘 배울 것은 배우고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였던 것이다. 사임당의 시당숙 이기(李咬)가 우의정으로 있을 때 남편이 그 문하에 가서 노닐었다. 이기는 1545년(인종 1)에 윤원형(尹元衡)과 결탁하여 을사사화를 일으켜 선비들에게 크게 화를 입혔던 사람이다.

    사임당은 당숙이기는 하나 이와같은 사람과 남편이 가까이 지내는 것을 참을 수가 없어, 남편에게 어진 선비를 모해하고 권세만을 탐하는 당숙의 영광이 오래 갈 수 없음을 상기시키면서 그 집에 발을 들여놓지 말라고 권하였다. 이원수는 이러한 아내의 말을 받아들여 뒷날 화를 당하지 않았다.

    7. 후손과 작품

    사임당의 자녀들 중 그의 훈로와 감화를 제일 많이 받은 것은 셋째 아들 이(珥)이다. 이이는 그의 어머니 사임당의 행장기를 저술하였는데, 그는 여기에서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 우아한 천품, 정결한 지조, 순효(純孝)한 성품 등을 소상히 밝혔다.

    윤종섭(尹鍾燮)은 이이와 같은 대성인이 태어난 것은 태임을 본받은 사임당의 태교에 있음을 시로 읊어 예찬하였다. 사임당은 실로 현모로서 아들 이이는 백대의 스승으로, 아들 이우(李瑀)와 큰딸 이매창(李梅窓)은 자신의 재주를 계승한 예술가로 키웠다.

    작품으로는 〈자리도 紫鯉圖〉 ·〈산수도 山水圖〉 ·〈초충도 草蟲圖〉 ·〈노안도 蘆雁圖〉 ·〈연로도 蓮鷺圖〉 ·〈요안조압도 蓼岸鳥鴨圖〉와 6폭초서병풍 등이 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신사임당(申師任堂)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 Article

    조선전기 「자리도」의, 「초충도」의, 「노안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504년(연산군 10).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5만원 신사임당은 1천원 이율곡의 어머니 입니다.

    신사임당이 좋은 여성으로 추대받는 이유는 가정에 충실하면서 이율곡이라는 훌륭한 자식을 길러내었다는 것입니다.

    흔히 현모양처의 대표적 사례로 언급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사임당은 조선 전기 자리도, 초충도, 노안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이며 1504년 태어나 1551년에 사망하였으며 이이의 어머니로 시, 그림, 글씨에 능한 예술가였습니다.

    한국은행은 한국사회의 양성평등의식을 제고하고 여성의 사회 참여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취지로 신사임당을 최종선정했으며 신사임당 선정이 교육과 가정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효과도 있을것이라고 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임당 신씨는 조선시대 중기에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입니다 조선시대 중기에 성리학자 겸 정치인 율곡 이이 화가 이매창의 어머니이기도 하지요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본관은 평산이며 본명은 신인선이라고 하나 확실하지 않으며 동시대의 여인인 문정왕후 정난정 황진이 등과 비교가 되며 그림 서예 시의 재주가 탁월하였고 성리학적 소양도 있었으며 십자수와 옷감 제작에도 능했다고 합니다. 또한 성리학적 지식과 도학, 문장, 고전, 역사지식 등에 해박하였다고 하며 태교에서부터 정성을 기울여 아들 주나라 주문왕을 얻은 현숙한 부인 태임을 본받는다는 의미로 아호를 정하였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만원권에 새겨진 인물은 조선 시대의 여성 교육가인 신사임당입니다. 신사임당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활동한 여성으로, 당시 여성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었던 상황에서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여성들의 교육을 촉진하였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남편과 아들들을 가르치면서 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또한 다른 여성들에게도 교육을 제공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녀의 교육 방법은 당시의 교육 방식과는 매우 달랐으며, 읽고 쓰는 것을 가르침으로써 여성들의 교양과 인격을 향상시키려고 했습니다.

    신사임당은 또한 자신의 풍부한 문학적 재능을 바탕으로 여러 시와 작품을 썼으며, 그 중에서도 "각시탈"이라는 소설은 당시의 여성들의 삶과 사회적 제약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유명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담은 글을 남기고, 여성들의 인권과 권리를 존중하며 그들의 교육을 촉진하는 활동을 전개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