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거창한레아228
거창한레아22823.04.20

급여대비 적금 비율은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급여가 300이라면 적금을 어느정도로 넣어야 적당한 금액일까요 ?

적금은 급여의 80%를 넣어라 라는 얘기를 많이들었는데 그외 비상금이나 통장쪼개기도 어떻게 해야할ㅈ

모르겠습니다 추천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기운찬코요테206입니다.

    우선 현재의 재정 현황을 파악한 후 어느 정도의 적금 목표율을 세우세요 거기에 맞춰 소비생활을 하도록 절제를 해야할 겁니다 그리고 나서 운영을 하면서 매월 체크를 해보고 1년에 두번 정도 목표율을 변경해야할지 고민을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뉴아트입니다.

    급여에 80%요? 누가 그런 소릴하는지 모르겠네요;;

    질문자님 월급이 300만원인데 300만원에 80%면 240만원입니다

    240만원 적금하고 60만원이 남는겁니다

    60만원 가지고 생활 가능하신가요?

    통신비만 해도 10만원에 교통비라던지 차량이 있다면 주유비, 기본적인 식비, 기타 고정 지출비용 감당 가능하신가요?

    아니 감당이 가능하다고 해도 취미, 여가생활은 안하시고 친구분들도 안만나고 사실 생각인가요?

    말도 안되는 소리에 현혹되지 마시고 본인이 매달 발생하는 고정지출 제외하고 생활비, 취미 및 여가생활비용, 비상금까지 모두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저축하는게 맞는겁니다

    적금이던 그냥 저축이던 투자던 뭐가 됐건 없어도 당장 생활에 지장이 없는 돈으로 하는게 맞습니다

    그냥 수치만 가지고 떠들어대는 자칭 전문가들 이야기 신경쓰지 마시길 바랍니다

    개인생활을 해야되는데 급여에 80%라니 미친 소리입니다

    그냥 적금은 본인이 생활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제외한 필요없는 돈으로 하시는게 맞습니다

    적금을 얼마를 하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얼마나 잘쓰느냐가 중요합니다

    열심히 벌어서 불필요한 지출로 돈을 허비하는게 아니라 꼭 필요한 지출만 하여 돈이 새는걸 막는게 우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영특한안경곰253입니다.


    말씀주신대로 적금 비율은 월급에 80%를 추천드리지만 생활에 나가는 비용에따라 적게는 50%까지 추천드립니다!


    통장 쪼개기는 4개의 통장을 추천드립니다.

    1. 월급통장

    2. 고정지출통장

    3. 생활비통장

    4, 예적금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