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23.11.20

우리나라의 겨울 기온은 어떤것에 따라 좌우 되나요?

계절별 바람의 방향이나 고기압 저기압에 따라

온도변화가 일어난다고 하는데요

겨울이 되면 어떤 기후나 바람의 영향에 따라 춥워지고 따뜻해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고기압의 영향: 고기압은 대체로 안정된 날씨를 가져옵니다. 고기압이 저위도 지역에 형성되면, 바람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합니다. 이러한 바람은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를 가져와 해당 지역의 기온을 상승시킵니다.

    2. 저기압의 영향: 저기압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날씨 조건을 가져옵니다. 저기압이 고위도 지역에 형성되면, 바람은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합니다. 이러한 바람은 일반적으로 찬 공기를 가져와 해당 지역의 기온을 하락시킵니다. 또한, 저기압은 대개 습기와 구름을 가져와 강수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압 분포 변화와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겨울에는 일반적으로 고기압 지역에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면서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저기압 지역에서 찬 바람이 불어오면서 온도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다양한 기후 요소와 지리적 조건이 영향을 미치므로, 이는 일반적인 경향성일 뿐이며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겨울의 특징은 3한4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겨울철 날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시베리아 기단인데, 시베리아 기단은 한랭 고기압으로 온난 고기압인 북태평양 고기압(높이 약 10km)에 비해 고기압의 높이가 낮습니다. 고기압은 바람이 불어나가는 곳이므로 상층에 공기가 쌓여야 하는데 온난 고기압은 대기대순환에 의한 하강 기류라 계속 공급되지만 한랭 고기압은 지표면의 냉각으로 지표 부근의 공기만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시베리아 고기압이 바람을 불어내는 것이 약 3일, 다시 고기압으로써 공기를 축적하는 것이 약 4일이 걸립니다. 따라서 바람이 부는 3일은 체감 온도가 내려가 춥게 느껴지고, 바람이 잔잔한 4일 동안은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상층의 편서풍 파동의 영향으로 파동의 골이 우리나라를 덮는 경우는 한파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를 지배하는 것은 시베리아 기단이고, 편서풍 파동의 영향으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이 더 강해질 수도, 약해질 수도 있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이 되면 북쪽에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서 우리나라의 겨울은 춥게 됩니다 이 고기압이 얼만큼 우리나라에 빨리 오냐 또는이 고기압의 온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겨울에 온도가 결정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겨울철 날씨는 시베리아 기단의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서고동저형의 기압 배치가 나타납니다.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옴 → 한랭 건조

    •시베리아 고기압의 주기적인 강약으로 기온의 하강과 상승이 반복되는 삼한 사온 현상이 나타납니다.

    •북서 계절풍이나 북동 기류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서 폭설이 내리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