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은 관리비가 왜 많이 나오 는 건가요?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우리나라 사람들 이 많이 생활 을 하는 곳 이잖아 요 근데 오피스텔 은 아파트 빌라 에 비해 서 관리비가 많이 나오는 데 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오피스텔의 경우 전용면적 대비 공급면적이 큽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전용률이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같은 면적 대비 아파트보다 관리비가 비싸게 느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집합건물은 오피스텔, 상가건물, 주상복합 같이 한 동의 건물이 여러 개의 부분으로 구조상, 이용상 독립되어 사용할 수 있는 집합된 건물을 말합니다. 반면 다수의 입주자가 거주하여 공적관리 필요성이 높은 아파트는 행정법의 적용을 받는 특별법 성격의 “공동주택관리법”으로 별도 관리하는 것입니다.
관리비의 회계감사에 있어 집합건물은 규약으로만 규정할 수 있지만 공동주택법에서는 회계 감사 사항이 의무이며 전기료, 수도료, 가스사용료 등을 공개하고 관리비와 사용료 등 세부 항목을 열거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아파트가 주택법을 따르는데 반해서 오피스텔은 건축법을 따르고 기본적으로 업무시설로서 취급되므로, 아파트가 전용면적에 엘리베이터, 계단, 복도 등을 포함하여 공급면적으로 하는 반면, 오피스텔은 아파트와 같은 공급면적에다가 지하주차장, 관리사무소 등의 기타 공용면적을 합한 것을 계약면적으로 하여 공급하므로 분양가가 더 비싸게 책정되어 관리비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빌라의 경우에는 부과되는 관리비가 청소 용역비, 승강기 유지보수와 소방 안전관리비, 전문관리업체의 위탁관리 수수료 정도로 내용이 많지 않아서 오피스텔이나 아파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오피스텔은 보통 세대수가 작고 집합건물에 속하는 오피스텔·상가 등 건물 한 동을 구분소유 형태로 나눠갖는 건물을 집합건물이라고 하는데, 아파트와 달리 공동주택법이 아닌 집합건물법을 적용합니다. 현행 집합건물법에는 관리비를 세부적으로 정하는 규정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오피스텔 건물 관리단이 관리비를 재량으로 책정할 수 있으며, 세입자들에게 정확한 관리비 사용 내역을 알려주지 않아도 돼 지금과 같은 ‘깜깜이 관리비’ 구조가 가능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관리비는 평수에 따라 관리규약에 정해진 금액으로 책정이 됩니다
그런데 오피스텔은 아파트보다 공용면적이 넓다보니 관리비가 많이 나옵니다
오피스텔의 단점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