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공손한거북이
공손한거북이21.12.28

한국에서 까치는 왜 길조인가요?

까치를 보면 귀한 손님이 온다는 이야기는 왜 생긴걸까요?

한국에서 까치는 옛부터 길조로 여겨져 왔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거북이놔두루미입니다.

    까치를 지역상징 동물로 지정하면서 부여한 의미는 길조·희망·새(반가운) 소식·미래예견·상서로움·희망 행운·기쁨 등이다. 까치는 높고 멀리 날아다니지 않고 언제나 사람들 주위에서 친근하게 지내는 새이다. 예로부터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나 소식이 온다고 했다.


  • 까치는 더 이상 길조가 아니고 유해 동물로 분류 됩니다.

    저도 어릴때 어른들께 들은 얘기인데,

    까치가 높은 나무 위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고 울어서

    까치가 울면 (반가운) 사람들이 온다는 얘기가 나왔다고 합니다.

    과학적인 답은 아니고, 옛날 어른들께 들은 얘기이니,

    그냥 재미로 읽어 주세요.


  • 가장 유력한 설이, 우리나라에도 '풍장'이라는 장례문화가 있었다고 한다.

    사람이 죽으면 바람에 시체가 썩도록 하고 나중에 장례를 치뤄주는 장례라고 하는데 이때 까마귀가 사람의 시체를 먹는 것을 보고 사람들로 부터 미움을 받아 흉조가 되었다는 설이다.

    하지만, 까치도 잘 먹는다. 간혹 구제역이나 다른 동물의 사체가 있을때 항상 등장하는 새중에 하나가 까치다.

    상상하건데

    풍장을 위해서든 전장에서 죽은 시체든 객사한 시체든 수습하기전 사람의 시체를 까마귀가 개걸 스럽게 먹다가 까치가 자기 영역에 들어와 자신들의 먹이를 먹는것을 보고 까마귀를 쫒아 냈고 마침 이 모습을 사람들이 목격하고서 까마귀는 흉조가 되었고 흉조를 쫒아 내는 까치를 보고 길조라고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까마귀는 죽음을 상징하는 새요, 까치는 죽음을 쫒아 내는 새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을런지,,,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것은 흉조인 까마귀가 걷어간 영혼을 까치가 다시 불러온다고 여겼기 때문인 것은 아닌지.

    과학적으로는 까치는 영리해서 동네사람들의 얼굴을 기억했다가 낯선 사람이 오면 경계하려고 짖어서 그렇다고 한다


  • 안녕하세요. 덕망있는불독137입니다.

    역사적으로 한국은 까마귀이라 할수있다 고구려의 상징 세발 까마귀 삼족오를 보면 알수 있다 그런데 반전이 일어났다 사실 까치를 좋아하는 중국에서는 까치의 지위는 아주 고귀하며 성현조로 받들고 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것 같습니다 또한 우리고유의 명절 설날이 올때마다 들리는 동요같은 노래 까치까치 설날이라는 가사소절이 등장하고 설날에 대한 인식이 좋은데 덤으로 까치가 나타나 좋은 인식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까치는 한국의 만화와 민속에 자주 등장하는 친밀한 새로서 특히 아침에 우는 까치는 반가운 소식을 전해준다 하여 길조로 여겨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