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집단 극화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집단 극화는 집단 토론 후 개인의 원래 태도가 더욱 극단적인 방향으로 강화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이런 집단 극화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집단극화는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다 보면 원래보다 더 극단적인 방향으로 생각이 치우치는 현상입니다. 인은 사람들이 집단 안에서 더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자신의 의견을 강화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설득력 있는 논거를 들으면서 기존 입장이 더 강해지는 데서 비롯됩니다. 또한 자신과 같은 의견만 받아들이려는 확증편향도 작용해 집단 전체의 생각이 점점 더 한쪽으로 몰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영어로 Group polarization이라고 합니다. 집단 내의 토론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보다 극단적 주장을 지지하게 되는 사회심리학 현상입니다.

    개인의 위치에서는 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도 집단이 되면 자신이 그 부담을 책임지지 않아도 되니 더욱 과격한 주장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집단 극화가 일어나는 원인으로는 사회비교이론, 설득주장이론, 자기범주화이론이 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회비교이론 - 영국의 사회심리학자 데이비드 마이어스(David Myers)는 사람들은 우유부단하다는 평가보다 소신이 있다는 평가를 선호하기 때문에 집단 토론 과정에서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보다 선명하다는 평가를 얻기 위해 극단적 주장에 동참한다는 이론

    2. 설득주장이론 - 마틴 카플란과 찰스 밀러는 사람들이 토론 과정에서 어느 한 주장이 보다 설득력있다고 인정하게 되면 점차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 주장에 동조하게 된다는 설득주장이론을 내세웠는데 이는 집단 극화의 경향을 모험적 이행과 보수적 이행으로 구분하고 그 둘 가운데 어느쪽으로 사람들이 극화될 것인지는 초기 토론을 지배하는 주장의 성격에 따른다는 이론

    3. 자기범주화이론 - 존 터너는 개인은 자신이 속한다고 믿는 내적 집단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옹호하려 하고 그렇지 않은 외적 집단과 구분하는데 이 경우 내적 집단의 규범이 사회적 평균보다 극단화되면 그것에 소속감을 갖는 개인들도 극단화된다는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