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3.06.02

왜 중국과 인도에는 많은 인구가 사나요?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하면 중국 인도가 생각이 납니다. 땅덩어리가 큰 나라는 많이있습니다. 유독 중국과 인도에 인구가 많은 이유를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당시 때 인구는 5억 4,000만 명, 세계 인구 대비 비율은 22%였다. 마오쩌둥이 다산을 장려해 베이비붐이 발생했고 이 늘어난 엄청난 인구는 문화대혁명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덩샤오핑과 공산당의 개혁파는 인구 증가를 막지 못 하면 중국이 멸망을 맞이할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곤 인구 증가를 막기 시작했다. 강력한 의료 정책으로 사망률이 급감하고 평균수명은 급증하면서 1982년에 3차 인구조사와 산아제한 도입 때에는 이미 인구가 10억 명으로 증가한다. 한편 공산정권 특유의 분배 시도와 집단화를 통한 생산력 증가도 일어났다. 대약진운동과 같은 대참사 시기 감소만 제외하면 당시 세계 인구 대비 비율은 23%였다. 그가 집권한 동안 인구는 30년만에 2배가 되었다. 대약진 운동 직후 베이비붐이 정점일 때 1963년 출산율은 자그마치 7.50명까지 증가했고, 1950~ 70년대 중반까지 출산율은 4~6명, 출생아 수는 2,500만 명~ 3,000만 명이었다. 인도가 현재 출생아 수가 2,500만 명인데, 중국은 당시 지금 인도 인구 규모보다 작았을 때 더 많은 출생아수를 기록한 것이다. 출산율 7~8명대가 실감이 나지 않는다면, 일부 중동 이슬람 국가와 사하라 이남 나이지리아와 같은 일부 다산 문화가 장려되었던 국가들이 기록한 수치였다.[51] 게다가 중국은 국가적 인구도 세계에서 가장 많다.

    이렇게 인구가 급증했지만 식량생산은 이에 간신히 따라갈 정도였고, 인구의 급증에 따른 사회인프라 확충도 부담이었기 때문에 1970년대에 산아제한 정책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1980년에 1자녀 정책을 도입해서 1990년대 이후로 출산율이 대체출산율 미만으로 하강하고, 출생아수도 1,500~1,800만 명 수준으로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 그래도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2019년에 14억 명을 돌파했다. 그러나 2021년에는 65세 이상의 인구 비중이 14.2%를 기록하며 고령사회에 진입하기 시작했다.

    낮은 인구 증가율 때문에 2023년에 인도에 수 천 년 동안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 유지한 1위 인구국 타이틀을 넘겨줄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인구 유지 및 감소를 바라는 중국과 인구 증가를 바라는 인도는 경제적으로 볼 때 좋은 연구 및 실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인도가 중국에 비해 인구 증가율이 높은 이유는 바로 인도의 합계 출산율이 2022년 2.0명대로 중국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아이가 태어나면 알아서 자신의 인생을 잘 산다는 인식도 갖고 있어 무대책으로 아이를 낳는 것도 사실이다. 고대부터 동서양이나 문화권 자체를 가릴 것없이 아예 사라지거나 위축된 몇몇 집단을 제외하고(로마 말기의 로마인, 마르키온파 등 반출생주의 입장을 견지하는 종교 등) 살아남은 집단은 자식의 성장과정에 맞게 양육의 질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자연 선택적으로 아이를 많이 낳았기 때문이다. 과거에 동양이든 서양이든 10대에 결혼을 했던 것도 이런 의미로 자식을 낳아도 위생, 영양 등의 문제로 언제 죽을 지 모르고, 성인이 되기 위해 배워야 할 지식이 적었기에 일단 자식을 낳을 수 있는 시기의 청소년기만 되어도 빨리 결혼해서 최대한 자식을 많이 낳는 것이 사회적 도리였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사실 방관도 나쁘지만 지나친 간섭도 나쁘다는 것도 관습적으로도 알려져 있었기에 양육에 들어가는 부모의 몫이 무한정 커질 수도 없었다. 인도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관념이 지금까지도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출처: 나무위키 중국, 인도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 4대문명인 황하문명(황하강), 이집트 문명(나일강), 메소포타미아 문명(유프라테스강), 인도문명(갠지스강) 중에서도 중국의 황화문명과 인도의 인도문명이 최고로 사람이 살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대한 강과 거대한 평야, 막대한 식량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죠.특히 쌀은 부양가능 인구가 높습니다.중국 남부나 인도는 2모작도 가능하구요(일년에 농사 두번).밑에 분들이 설명이 부족한 게 중국도 화북평야는 건조해서 쌀농사를 거의 안짓습니다.주식도 아니구요.



    대충 중국이랑 비교해드리면 우리나라 국토 면적은 대략 10만km²이고 북한까지 합치면 22만km² 정도 됩니다.근데국토의 70%가 산이죠? 우리나라 최대 평야인 호남평야가 3500km²정도 됩니다.



    중국의 화북평원은 대략 41만km² 입니다.대략 한반도의 두배 크기죠? 쓰촨분지의 면적은 대략 17만km² 양쯔평원은 20만km2, 그 외에도 관중,한중,주장강 유역 자잘자잘하게 몇만km² 단위의 평원이나 분지가 상당히 많죠. 우리나라도 국토 면적에 비하면 인구가 많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