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회초리를 들지 않고 어떻게 처벌할 수 있을까요?
요즘에는 집에서도 때리거나 하는 문화가 아니어서
한번도 그렇게 폭력을 행사하진 않았는데
아이들이 점점 자라면서 부모의 통제를 받지 않게 되는데
어떻게 하면 잘못한 아이를 벌줄 수 있나요?
회초리로 때리거나 벌을 주기보다는 반복적이지만 훈육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하게 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이런 환경에서 자라난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잘못한 행동을 했을때 체벌과 벌이 아닌 훈육으로서 바른 행동을 하도록 가르쳐주어야 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어떤 행동이 잘못되었는지 구제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대처방안을 제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조용한 장소에서 잠시 스스로 잘못을 생각해볼 시간을 주고 난뒤에 어떤 행동이 잘못했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갖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면 아이가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 반성하고 개선할수 있다고 봅니다. 체벌이나 벌은 아이에게 상처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니 아이의 올바른 성장발달을 위해 바른 행동을 가르쳐주는 훈육을 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체벌로 훈육을 하면 안된다 라는 것을 강조하는 '말'이기도 한데요.
아이의 훈육을 그 잘못된 행동과 언행을 짚어주고 바로 잡아주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훈육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잘못한 행동을 했다면 단호하게 그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고, 왜 그것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요즘에 아이들에게 회초리로 때리게 되면 아동 학대로 처벌 받을 수 있기에 유의 하셔야 합니다
폭력에 노출된 아이들은 다른 친구들에게 폭력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고 멀리 가서 자신의 자녀에게도
폭력을 행사 할수 있어 아이들 보육 시 작은 폭력이라도 가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일정에 규칙을 정하게 됩니다
규칙을 잘 지키게 하려고 훈육을 하는 것 입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주고 아이에 말에 대해 공감이나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의 행동에 대해 설득하고 이해 시켜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요즘에는 아이를 체벌하지 않는 추세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크게 되면 아이들은 말을 듣지 않을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강력한 제재를 걸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가 하고 싶어 하는것을 통제 해줌으로써 아이가 부모님의 말을 들어야 된다는것을 인지 시켜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무때나 사용하시면 안되고 학업이나 안전 또는 규칙을 지켜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남발하게 되면 아이들의 적개심을 살 수 있을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회초리를 들지않고 우선 아이가 현재 어떤감정인지를 확인하시고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시며 바른행동을 할것을 요구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처벌한다는건 가혹한거같습니다 아이가 잘못을 깨닫고 다시는 같은 잘못을 안하도록하는게 중요하니 아이감정에 공감하며 대화로해결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요즘은 물리적으로 체벌을 하는 것보다 타임 아웃(활동 일정 시간 제한하기), 성찰문 작성하기 등의 방법을 통해서 스스로 반성할 수 있도록 훈육을 하는 추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체벌을 가하게 되면 부모와의 신뢰와 감정적 관계가 완전히 단절이 되게 됩니다. 상호관계에 있어서 최악으로 치닫게 됩니다. 또한 그 아이가 자라서 또 다른 체벌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에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체벌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됩니다. 훈육이란 아이에게 참된 인생의 조언을 해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에게 집안에서의 일관된 규칙을 설정하고 규칙을 위반 했을 때 이어지는 결과를 알려주세요
놀이터 금지, 미디어 금지 같이 본인이 한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합니다.
그리고 잘못된 행동에 벌칙을 주는 것 보다, 잘한 행동에 칭찬을 많이 해주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잘한 행동을 강조함으로써 아이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계속 긍정적인 행동을 이어 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