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한국 대미 수출에 미치는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2025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예상되는 관세 인상 및 통상 압박이 반도체와 자동차 등 주요 산업에 미칠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으로 미국의 무역정책이 다시 강경한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한국의 대미 수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사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들이 미국 내 투자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함께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조선업 협력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며 미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제 혜택과 보조금 지원 등의 긴급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한국의 대미 수출에 직접적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산업은 미국의 관세 인상 시 가격 경쟁력 약화로 수출 감소가 예상되며,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가 적용될 경우 관련 부품 수출에도 악영향이 확대됩니다. 특히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과 상호관세 도입 검토는 무역 장벽을 높여 대미 수출액을 연간 최대 64억 달러까지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주요 시나리오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10% 보편관세 적용 시 한국의 대미 수출이 8.4~14% 감소할 전망입니다. 반도체 분야는 중국 견제로 일시적 수혜 가능성이 있으나, 전기차 배터리 분야는 ira 혜택 축소로 500억 달러 투자 계획의 20~30%가 지연될 위험에 직면했습니다. 자동차 관세 인상 시 현지 생산 확대가 필수적이며, 무역금융 지원과 수출 시장 다변화를 통한 선제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