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11.07

우리나라 김치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누가 뭐래도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인데요. 이런 김치의 역사와 유래는 어디서 시작된것이며 최초김치는 어떤김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의 역사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한국은 고대부터 산지가 많아 채소가 풍부했는데, 이러한 채소를 오랜 기간동안 보관하기 위해 발효와 저장 방법이 발전되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향신료와 조미료를 사용해 음식을 더 맛있게 만들고 보관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발효법이 발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의 기원은 삼국시대의 편린에 기대 김치 역사 3000년을 말하는 사람도 있을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고려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배추는 속이 차지 않고 상추처럼 퍼지는 비결구 배추였으나, 18세기 말 이후 중국에서 조선이 만든 속이 든 결구배추가 새로이 도입되었고, 더러 잡종이 생기면서 반결구배추가 개성과 서울 쪽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의 유래는 추적하기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 농경 민족들에게 나타나던 채소를 소금에 절여 장기보관한 형태의 음식으로 유래를 추적하나, 반대로 아주 오래전부터 있던 한민족의 그런 음식 중 어느 시점부터가 지금의 김치라 부를수있는지 나누기 애매하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야채 염장음식은 대한민국의 삼국시대부터 있었다고 할수 있으며 삼국지 위지동이전에 고구려에서는 발효식품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고려시대 때 물김치, 나박김치, 동치미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고 고려양의 영향으로 원나라에서도 알려져 거가필용 등의 책에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붉은 배추김치의 형태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래한 고추가 포르투갈 상인들을 통해 동아시아로 전해진 이후부터로, 고추는 임진왜란을 통해 전해졌다고 하나 전래 이후로 바로 사용되지 않았고, 1613년 지봉유설에 따르면 그 무렵 재배, 1766년 증보산림경제에 보면 이때부터 고추가 김치 조리에 이용되고있다는 것을 알수있는데, 이 시대의 고추 이용도 지금처럼 고춧가루를 많이 넣은 새빨간 것이 아닌 말린 고추 몇개 넣어 맛이나 향을 더하는 정도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초는 잘 모르나 삼국시대에 김치가 존재하였다는 일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고추를 오래전 부터 재배하지 않았으며 최초 김치는 백김치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는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입니다. 소금에 절인 배추나 무 등을 고춧가루 파 마늘 등의 양념에 버무린 뒤 발효시켜 만듭니다. 한국의 국민 음식 중에 하나입니다. 겨우내 먹기 위하여 김치를 한꺼번에 많이 담그는 것을 김장이라 하며 그렇게 담근 김치는 겨울에 얼지 않고 더운 여름에는 시원하게 유지하기 위해 옹기라 불리는 큰 토기 발효 용기에 담아 땅속에 보관했습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삼국사기에도 채소발효식품을 즐겨 먹었다고 합니다. 신라에서는 불교가 도입되서 채식이 유행하고 발효 채소도 즐겨먹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고려시대 1241년 간행된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는 가포육영이라는 시에 무로 담근 김치가 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7세기 말 요록에는 11종의 김치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대륙 작물인 고추되기 이전에는 전초(초피) 산초 호초(후추) 등 초라 불리는 향신료나 회향 식초 등을 사용해 담근 소금물절이 김치였으며 고추가 들어온 지 한 세기가 지난 1715년에 간행된 산림경제에도 소금에 절인 채소를 식초에 담그거나 고추가 아닌 다른 향신료와 섞어 만든 김치만 기록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김치를 먹기시작한 때는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는데요. 이 시대에는 한 곳에 정착해 사람들끼리 마을을 이루고. 또 농사를 짓게 되면서 농경 문화가 자리잡은 시기라고 합니다. 하지만 당시 김치는 지금 처럼 고추 가루가 있던 시기가 아니라 맑은 김치형태 라고 할수 있습니다. 오늘날 배추김치의 형태는 1600년대에 고추가 상용화되면서 나타났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