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2

백제 개로왕이 고구려에게 전투를 패배한 이유는?

고구려의 장수왕이 백제의 개로왕을 죽이고 많은 백제에 영토를 차지하게 되는데요.

백제 개로왕이 고구려에게 전투를 패배한 이유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강사한부고주파
    강사한부고주파23.12.14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 개로왕이 고구려에게 전투를 패배한 이유는 과도한 자신감으로 제대로 전투를 준비하지않았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국 475년 9월, 고구려 장수왕은 3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전격적인 백제 침공을 단행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백제는 불과 7일 만에 방어 전선이 죄다 무너지고 도성(위례성)마저 위협을 받게 되었습니다. 7일 간의 방어전 끝에 위례성 즉 한성이 함락당하자, 개로왕은 왕비와 왕족들을 데리고 수십 명의 기병을 거느린 채 서쪽으로 탈출하려다가 고구려군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개로왕을 사로잡은 백제의 배신자 재증걸루와 고이만년은 일단 말에서 내려 옛 임금인 개로왕에게 절을 하고, 왕의 낯을 향하여 세 번 침을 뱉고서 죄목을 따진 다음 아단성 아래로 끌고 가 일족 모두와 함께 참수해 버려 개로왕이 죽게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의 3만 병력에 백제가 이토록 무참히 짓밟힌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개로왕의 내정의 실패였다. 개로왕은 왕권 강화를 시도해 왕족 중심의 집권체제를 만들었다. 개로왕이 458년에 송나라에 관작제수를 요청한 11명 가운데에는 그의 두 아들 여도(餘都 : 뒤의 문주왕)와 여곤(餘昆 : 문주왕의 아우이자 동성왕의 아버지인 昆支로 추정됨)을 비롯해 8명이 왕족인 여씨(餘氏)였고, 당시 백제의 주요 세력이었던 해씨(解氏)나 진씨(眞氏)는 없었다. 또한 문주왕은 왕자로서 백제의 최고 관직인 상좌평(上佐平)을 지냈다. 이러한 사실들은 개로왕이 구래의 대 귀족들을 배제시키면서 왕족 중심의 집권체제를 추구했음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왕권강화를 위한 시도이기도 했다.

    개로왕이 왕궁을 장려하게 짓는 등 큰 토목공사를 일으킨 것도 왕의 권위를 높이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구래의 대 귀족세력들이 그대로 존속하는 가운데 그들을 배제시킨 채 왕족 중심의 집권체제를 추구한 것은 백제 내부의 정치적 결속을 와해시키고, 백제 왕실의 영도력 자체도 약화시켰다. 개로왕은 백제사람으로서 고구려에 망명해 고구려군의 선봉장이 된 재증걸루(再曾桀婁)와 고이만년(古爾萬年)에게 잡혀 살해되었다. 그리고 개로왕이 죽고 문주왕이 즉위하자 구래의 대귀족인 해구(解仇)의 반란이 있었다.

    이는 개로왕의 왕족 중심 정권 운영이 백제 지배층 내에 왕실에 대한 적대세력을 키워냈고, 그로 인해 지배층의 내분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무리한 왕궁 건축 등을 강행해 하층민을 위시한 국민들은 왕실에 대한 원망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삼국사기』 도미전(都彌傳)의 개루왕은 고구려영토와의 위치로 보아 근개루왕, 즉 개로왕으로 보이는데, 이 전설에서 왕은 잔인하게 하층민의 아내를 빼앗으려 한 폭군으로 묘사되어 있다. 도성이 함락되기 직전에 개로왕이 자신의 과오를 후회하며, “백성은 쇠잔하고 군대는 약하니, 비록 위급한 일이 있어도 누가 나를 위해 기꺼이 싸우려 하겠는가.”하고 탄식했다는 이야기도 개로왕이 널리 국민들의 신망을 잃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장지는 미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