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미국‑베트남 관세 딜, 우리 무역에 어떤 영향일까요

미국이 베트남에 수출 관세 20%, 중계품엔 40% 부과하는 딜을 발표했는데 우리 무역 담당자는 한국산 공급망이나 거래처 조정 전략을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요 고민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서 이 조정은 무시하기 어렵습니다. 베트남 경유해서 미국 들어가던 경로에 관세가 크게 붙는다는 건, 사실상 중계 무역이 막히는 구조입니다. 지금까지 베트남을 중간 가공지 또는 원산지 우회지로 쓰던 전략이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거래처가 베트남에 있거나, 베트남에서 공정 일부만 거친 물품이라면 미국 수입자가 원산지 재검토를 요청해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단순히 원산지 표기나 FTA 문서 관리만 할 게 아니라, 미국 직접 수출 비중을 늘리거나, 제3국 가공에 대한 사전 검토를 철저히 해야 할 시점입니다.

    공급망 재조정은 시간 걸리지만, 관세 체계는 예고 없이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금부터 조정 시나리오를 최소 두세 가지는 준비해두는 게 안정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베트남 간 관세 합의가 터지면서, 한국 기업이 베트남 거쳐 우회 수출하던 방식엔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습니다. 중계무역 비중 크거나 베트남에서 조립해서 미국 가는 구조라면 원산지 기준 더 타이트하게 챙겨야 하고요. 원부자재를 한국산으로 명확히 하거나, 아예 생산거점 일부를 한국이나 FTA 혜택 유지되는 제3국으로 돌리는 식으로 공급망 정비를 검토해야 할 시점입니다. 미-중 갈등 때처럼 또 한 번 흐름이 바뀌는 국면이라, 기업도 발 빠르게 수요처별 대응전략 짜는 게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베트남간 무역합의에 따라 20%의 관세 환적을 통해 물품이 수출되는 경우 40%의 관세가 부과되도록 설정이 되었습니다.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BC83E06F9F8C350F90DF7B00F1118B94.Hyper?no=93117&siteId=2

    환적화물 등에 대해서는 중국의 우회수출등을 우려한 상황이 있는 것을 보입니다.

    만약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기업들이 있는 경우에는 실제 베트남산 원산지를 충족할 수 있는지, 환적 화물 등에 대한 미국수출건이 있는지 등 여러가지 사항을 기업체 특성에 맞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베트남 관세 인상은 원산지 세탁 차단 목적이 강하므로, 한국산으로 명확히 입증 가능한 공급망 확보가 중요해 보입니다. 거래처와 계약서상 원산지 조건을 명확히 하고, 중계 수출 구조를 쓸 경우엔 최종 생산지 기준의 증빙을 꼼꼼히 준비하는 게 필요합니다. fta 원산지 증명 방식도 다시 점검해두는 게 좋겠고, 중간재 수출 기업은 향후 검증 강화에 대비해 원산지 확인서나 제조공정 자료를 미리 갖춰두는 편이 안전하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