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박은 식물인데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시박은 식물인데도 우리나라에서 생태교란종으로 지정한 유해식물이라더군요
가시박이 식물임에도 생태교란종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어떤 점들 때문에 생태교란종에 유해식물로 분류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가시박은 덩굴식물의 일종인데 번식력이 매우 강해서 주변식물을 덮어버리고
광합성을방해해서 고사시키게됩니다.
하나의 개체가 수만개의 씨앗을 퍼뜨리기때문에 짧은시간안에 생태계를 장악하게됩니다.
이런 특성때문에 토종식물의 다양성을 크게 위협하고,
하천이나 농경지등 인간활동에도 피해룰주기도 합니다.
식물도 이런 자연적, 경제적인 피해가 크다면유해종으로 분류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가시박은 겉보기에 그냥 흔한 덩굴식물처럼 보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릴 정도로 강한 번식력과 확산력을 가지고 있어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대표적인 식물인데요, 강한 번식력과 생장 속도로 인해 문제가 됩니다. 한 개체가 한 해에 수천 개의 씨앗을 생산할 수 있는데요, 씨앗에는 단단한 가시와 털이 있어 동물의 몸이나 사람의 옷에 쉽게 달라붙고, 물에도 잘 떠다니므로 멀리 퍼져나가며 싹이 트고 나면 매우 빠르게 자라 주변을 뒤덮습니다. 또한 덩굴이 길게 뻗어 다른 식물 위를 뒤덮으면서 햇빛을 차단하는데요, 그 결과 토종 식물은 광합성을 제대로 못 하고 고사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에서는 나무조차 덩굴에 완전히 덮여 죽는 경우가 있습니다. 게다가 토종 식물들이 사라지면, 그 식물을 먹이로 삼던 곤충·조류·동물들의 서식지가 붕괴되는데요 즉, 식물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생태계 전체 먹이망과 다양성이 위협받게 됩니다. 또한 가시박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던 종이기 때문에 천적이 거의 없어 제어가 잘 되지 않고, 토종 식물보다 경쟁력이 압도적으로 강합니다. 감사합니다.
가시박이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이유는 강력한 번식력과 빠른 성장 속도 때문입니다. 이 식물은 덩굴 형태로 주변의 다른 식물이나 나무를 빠르게 뒤덮어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광합성을 방해하고 결국 고사시키는 피해를 줍니다. 또한 개체당 수천 개의 씨앗을 퍼뜨리고, 씨앗의 수명도 길어 한번 자리를 잡으면 제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생물 다양성을 크게 해치고 토착 생태계를 파괴하는 유해식물로 분류됩니다.
가시박은 식물이긴 하지만, 압도적인 번식력과 빠른 성장 속도로 토종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여 생태계를 심각하게 교란하기 때문입니다.
가시박은 하루에 30cm 이상 자랄 만큼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며, 덩굴이 다른 식물이나 나무를 뒤덮어 햇빛을 가로막습니다. 그래서 아래에 있는 식물은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결국 말라 죽게 됩니다.
또한, 한 개체에서 수십만 개의 씨앗을 만들어 바람, 물, 동물을 통해 넓은 지역으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확산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이렇게 가시박은 토종 식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생물 다양성을 해쳐 생태계를 단순화시키고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게다가 줄기와 열매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어 제거 작업도 쉽지 않고, 뿌리째 뽑아내지 않으면 금방 다시 자라나 관리가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생태계를 위협하는 유해식물로 분류되어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