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도덕적인토끼220
도덕적인토끼220

올해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어떨까요?

무역으로 먹고사는 우리나라가 근래 들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들었어요. 그 이유는 무엇이고, 우리나라의 올해 무역수지가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수출은 2022년 대비 7.8% 감소한 6,300억 달러, 수입은 11.8% 감소한 6,450억 달러, 무역수지는 150억 달러 적자로 추정됩니다.

      올해 수출은 9월까지 역성장 이후 10월 증가세로 전환했고,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원유·천연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수출 부진의 사유로는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과 반도체 등 5대 IT 품목 수요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니 적자폭이 작년보다 감소하기는 했으나 올해도 여전히 무역수지는 적자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우리나라 무역 적자의 원인으로 수출실적이 감소한 것이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유는 두 가지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우리나라 최대 수출 국가인 중국의 수입시장 위축, 두 번째로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수출 실적이 감소된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수출은 전년 대비 7.9% 증가한 6,800억 달러, 수입은 3.3% 증가한 6,660억 달러, 무역수지 140억 달러 흑자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제품이 전체 수출 성장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13대 주력 품목 수출이 모두 증가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24년 무역수지의 경우 23년보다 더 나아질 전망입니다. 수입에 영향을 미친 유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자동차의 경우 24년에 23년이상의 강세를 보일 것이기에 이러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경제전망을 예측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올해 한국의 수출이 작년보다 7.8% 줄어든 6천300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수입은 6천450억달러로 11.8% 감소해 한국의 올해 무역수지는 150억달러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연합뉴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2023년 우리 수출은 전년 대비 7.8% 감소한 6,300억 달러, 수입은 11.8% 감소한 6,450억 달러, 무역수지는 150억 달러 적자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수출은 9월까지 역성장 이후 10월 증가세로 전환했고,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원유·천연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이 크게 감소, 무역수지는 6월부터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2024년 수출은 전년 대비 7.9% 증가한 6,800억 달러, 수입은 3.3% 증가한 6,660억 달러, 무역수지 140억 달러 흑자가 예상됩니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제품이 전체 수출 성장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13대 주력 품목 수출이 모두 증가할 전망입니다.

      출처 : 한국무역협회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2023년 우리 수출은 전년 대비 7.8% 감소한 6,300억 달러, 수입은 11.8% 감소한 6,450억 달러, 무역수지는 150억 달러 적자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수출은 올해 초부터 감소세를 이어 왔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인해 세계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수출 주도형 경제인 우리나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중국의 경기가 둔화되면서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출 원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출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최근 월별 무역수지를 보게되면 무역수지 흑자의 상황으로 전환되긴하였지만 연초부터 시작된 무역수지 적자의 상황이 워낙 안좋았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무역수지의 적자의 상황으로 끝마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