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6.12

통일 신라에 호족들이 등장하게 된 배경이 무엇인가요?

통일 신라는 말 그대로 하나의 나라라서 권력도 중앙에 집중되어 있었을텐데

어떻게 지방에서 각자의 권력을 가진 호족들이 등장하게 되었던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일신라가 676년부터 935년까지 신라가 고구려 백제를 정복 통일한 시기를 말하는데요. 초창기 통일신라는 강력한 중앙집권 체져였을리라 짐작됩니다.

    하지만 통일신라 초기 이후에는 여러 이유로 인해 지방에서 권력을 행사하는 지방 귀족들이 등장했습니다. 8세기 후반 통일신라에서는 국가 기강이 해이해지면서 중앙 귀족들 간의 권력 투쟁이 치열해지고,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지방에서는 군사력과 경제력, 새로운 사상을 갖춘 호족 세력이 성장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지방세 호족들의 민간 무역이 활발해지고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지방 해상에는 해적들이 자주 출몰했고 이게 해상 무역에 큰 타격을 주게 됩니다. . 그래서 이런 상황에서 해상을 직접 지키기 위한 호족들의 군진이 생겨납니다. 이렇게 통일신라 말기에는 중앙 정부의 권위에 반대하는 지방 귀족들이 독립적인 세력을 형성하면서 사사건건 도전하였던 것 같습니다. 이 지방 호족들은 지방에 기반을 둔 독립적인 세력을 형성하며 중앙 정부의 권위에 맞서 싸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일 신라 말기로 갈수록 경주의 중앙 정치는 귀족들 사이의 권력 쟁탈전이 시작되었고 , 그와 동시에 지방에서는 경주의 귀족 세력을 위협하는 독자적인 정치 세력으로 호족들이 떠오르게 됩니다. 훗날 후백제와 후고구려를 세워 신라에 반기를 든 견훤(867∼936)과 궁예( 870∼918)가 신흥 지방 호족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들 지방 호족들은 지방에 근거지를 두고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여 중앙의 권위에 도전하면서 후 삼국 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족의 기원은 지방으로 낙향한 진골귀족이나 6두품 계층, 주(州) · 군(郡)의 이직자(吏職者)들, 그리고 촌의 행정을 담당한 촌주(村主)들이라 할 수 있다. 전자의 두 부류는 신라 말 고려 초에 성주(城主) · 장군(將軍)을 칭하는 대호족이 되었고, 후자는 대감(大監) · 제감(弟監)을 칭하는 소호족이 되었다.


    이들은 신라 말에 새로운 세력으로 등장해 고려왕조를 성립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고려왕조 성립 후 호족들은 두 가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하나는 중앙으로 진출해 문벌귀족화주2하게 되는 부류이고, 다른 하나는 지방에 남아 왕권강화와 더불어 향리화(鄕吏化)의 길을 걷게 되는 부류이다.


    그러나 지방의 향리들도 과거 · 천거를 통해 중앙관리가 될 수 있는 길은 열려 있었다. 그러므로 고려시대 문벌귀족의 저변에도 호족의 후신인 향리의 세계가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