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3

왜 기체의 온도가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나요?

안녕하세요!

기체는 온도가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열기구도 이런 원리를 이용해서 공중에 뜰 수 있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왜 기체의 온도가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체의 분자는 열을 받으면 활동이 활발하게 되고, 활발하게 움직이므로 분자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됩니다.

    분자간의 간격이 벌어지게되니 단위면적당 부피가 커지게되고 밀도또한 작아지게 됩니다.

    밀도가 작아지니 가벼워져서 주위의 차가운공기보다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 빈티지한양48
    빈티지한양4823.01.03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의 온도가 올라가면 분자운동이 활발해지고 분자의 운동량이 증가하면서 용기 벽면에 충돌시 더 강한 힘을 작용시키므로 내부 압력이 증가됩니다~

    그래서 용기가 부풀어 오르지만 다시 부피증가에따른 압력감소로 대기압과 같아지면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 기체도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기체의 분자도 운동을 하는데 기체의 온도가 올라가면 열 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됩니다.

    따라서 기체의 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움직일 수 있는 거리가 많아져 부피가 팽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기체분자는 빈공간에 고정되어있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자들과 부딪혀(실제로 접촉하진않고 전자기력에 의해 접촉 전에 튕겨냄)

    이리갔다 저리갔다 하면서 움직입니다.

    기체의 온도가 올라가면 기체 분자가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분자 운동이 더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분자끼리 더 많이 부딪혀 반발력이 커지고 행동 반경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부피가 팽창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에 에너지를 가하면 기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게 됩니다. 즉 기체 분자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죠.

    그렇게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분자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부피가 팽창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