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경기침체의 전조증상이 있나요?
경제위기, 경기침체의 전조증상이 있나요?
위기가 오기전에 항상 오게되는 전조증상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조증상 없이 터지고 나서야 알게될 수밖에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 하락, 소비 위축, 실업률 증가 등이 대표적인 전조입니다.
통화 긴축과 기업 실적 악화가 동반될 때 위험 신호로 봅니다. 단기 지표보다 경제 전반의 흐름을 종합 판단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된다고 한다면 투자심리나 소비심리가 적어지고 이로 인해 기존에는 소비되던 양이 소비되지 못해 재고가 쌓인다는 말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재고가 쌓이는것 자체가 경기침체가 되는 시작점이라고 볼수 읶습니다. 이러한 것은 장기적으로 경기침체 및 소비심리 악화가 장기화 된다고 볼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위기나 경기침체의 전조증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물가 상승, 실업률 급증 등이
경기침체나 경제위기의 전조증상이 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이미 경기 침체가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내수시장에 많이 위축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비춰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 위기나 경기 침체는 어느 시대에나 오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해 잘 대응하는 것이 중요할 거라고 생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위기나 경기 침체는 100% 예측 불가합니다.
그러나 여러 상황과 지표를 통한 전조 증상이 많습니다.
주요 신호로는 먼저 국채 수익률 곡선 역전입니다. 전통적으로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추월하는 경우 약 80%가 경기침체을 알리는 신호였습니다.
그리고 실업률 급상승은 경기침체의 신호입니다. 3개월 평균 0.5%p 상승시 우리는 실업률하락에 따른 경기침체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기타 소비자 신뢰·지출 하락이나 PMI 지수 50 미만, 기업 이익 감소등이 경기침체의 신호라 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침체가 오기전에 증상은 노동시장이 침체되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기업에게서 먼저 증상이 보이고 그 다음으로는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히게 되면서
소비 감소로 이어집니다.
이는 국가의 GDP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실질 GDP가 감소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 상승, 소비 둔화, 주가 급락, 신용 경색 등을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항상 명확하지 않아 갑작스럽게 위기가 발생항 수 있으며, 경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금융위기와 경기침체는 서로 다른 개념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금융위기는 금융시장의 급작스러운 불안정으로 갑자기 터질 수 있지만, 경기침체는 실물경제의 점진적 둔화로 여러 선행지표들이 서서히 악화되며 다가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전조증상은 보통 금융지표에서 먼저 시그널로 작동하는게 일반적이며 이에 통화유동성이 감소하는지를 보는게 중요하며 그리고 현재는 장기금리가 상당히 중요한 시그널로 10년물 시장금리가 5%이상으로 빠르게 올라가는지 그리고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최근 물가상승률이 다시금 상승하려고 하는것인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업과 고용률을 우선적으로 살펴보는게 핵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