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총명한쌍봉낙타255
총명한쌍봉낙타25523.12.08

인플레이션은 왜 일어나나요. 궁금합니다.

도대체 인플레이션은 왜 일어나는 건가요?

인플레이션이 없으면은 좋지 않나요? 물가가 계속 올라가다보니. 너무 월급을 받아도 돈이 없습니다. 물가정 그만 올라가는 방법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는 경제가 성장하게 되면서 이에 따라서 발행되는 화폐의 총량이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인플레이션의 다른 말은 실질임금의 하락이라고 하는데, 인플레이션은 화폐 유동성 증가로 인해서 화폐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다른 자산들에 비해서 낮아지기 때문에 발생하게 되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건의 공급 등에 문제가 생겨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도 있고

    화폐가 지속저긍로 늘어나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금리인상을 통하여 보통 물가를 잡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자본주의 시스템으로는 인플레이션은 일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아시다시피 물가 상승인데, 물가가 오르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돈의가치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는 현재 정부들이 돈을 더 많이 늘려서(직접 찍어내든, 채권을 늘리든) 그렇고, 돈을 많이 늘리는 이유는 쓰기 위해서입니다.

    정부는 늘 돈이 더 필요합니다. 선거공약 때 한 약속들도 지켜야 할 수도 있고,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일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근본적으로 지금 자본주의는 물건을 만들고, 이게 소비되고, 소비 되면서 기업이 돈을 벌고, 기업이 돈 벌면 인력을 채용하고, 인력을 채용되어 돈을 벌고, 번 돈으로 소비하고 이 것의 선순환이 목적입니다. 그러면 소비가 되어야 하는데, 소비가 되기 위해서라도 지금이 미래보다는 물건 값이 싸야합니다.

    만약 물건 값이 내년에 더 싸진다 하면 사람들은 소비를 안하고 내년을 기다리겠죠. 그러면 소비가 줄고 기업이 망하고 인력채용이 줄고 이런식으로 악순환이 됩니다. 그래서 미국을 비롯한 우리나라도 건전한 인플레이션 물가상승율 2% 정도를 목표로 잡고 운영하고 있는 이유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