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따뜻한콜리299
따뜻한콜리29921.04.11

호수의 물은 왜 썩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물은 고여있으면 썩는다고 들었습니다.

호수의 경우 크기를 불문하고 물이 제한된 장소에 고여있음에도 물고기나 여러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흐르고 있지 않음에도 말이죠.

호수의 물이 썩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위질문 답변 도와드리겠습니다

    호수가 썩지않는 물은 아닙니다 이 부분은 호수의 자정작용 메카니즘이라고 하는데요,

    호수가 썩는다는 것은 호수에 유입된 각종 미생물에 의해 분해할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하여 물속에 용존산소가 고갈되어 혐기상태로 변함으로써 물고기 등 수중 생물이 살 수 없는 상태로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 먼저 물은 자정능력, 즉 스스로를 정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오염물질이 들어오지 않는 한 크게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또한 호수에는 물고기 등 뿐만 아니라 많은양에 플랑크톤, 수생식물 등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들이 서로 적절한 관계를 맺고, 호수를 정화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호수가 고여있는 물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생명이 그곳에서 살아갈 수 있는 겁니다.

    예를 들어 수생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과정서 산소를 만들고, 물속을 정화해주며, 호수에 온도가 심히 올라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물론 다양한 생물에 먹이가 되기도 하고요.

    이 과정서 플랑크톤이 산소를 흡수하고 물속에서 살아가며 많은 물고기와 생물들에 먹이가 됩니다.

    물고기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식물에 뿌리를 통한 이산화탄소 흡수를 돕고, 갑작스러운 변화로 대량이 죽지 않는 한 죽음을 맞이한 후 플랑크톤 등에 먹이가 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호수는 작은 생태계를 이루고, 물에 산소 이산화탄소 등에 농도를 조절하여, 물이 썩지 않고 생명이 살아갈 수 있게 됩니다.


  • 고여 있는 물이라고 해서 모두 다 썩는 것은 아닙니다.

    고인물은 썩는다는 속담은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화하지 못하면 뒤처지게 된다는 뜻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저 표면적인 해석으로 물은 고이면 썩는다라고만 생각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호수의 물이 썩지 않는 이유는 호수가 자체적인 정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호수에서 서식하는 각종 수초나 플랑크톤 등이 호수로 유입되는 유기물들을 분해해서 깨끗하게 만들어주고

    호수라도 빗물이나 냇물, 강물들이 흘러 들어오고 바람이나 태양에 의한 증발 작용이 계속해서 일어납니다.

    하지만 호수가 가진 자정 능력을 초과하는 물질들이 들어온다면 아무리 큰 호수라도 썩게 됩니다.

    고인물이라고 모두 썩어야 한다면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판매하는 생수병 속의 물도 모두 썩어야 할 것입니다.


  • 지구에선 이뮤도 모르게 순환이 일어납니다. 호수의 물인 경우에도 순환이 일어나는데요 물이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비가 내려 계속 순환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땅밑의 지하수나 그 외의 것들로 인하여 계속 유지가 됩니다 그리고 물고기도 한몫을 합니다 헤엄을 치면 물이 섞이겠죠 계속 헤엄을 치며 물이 한곳에 고여있지 않도록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