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11.06

고여있는 호수가 썩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고여 있는 물은 썩기 마련이잖아요.

호수는 규모가 크다 뿐이지 고여있는 물이지 않나요?

근데 호수의 물은 안썩는 것 같은데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여있는 호수가 썩지 않는 이유는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호수는 일반적으로 강이나 다른 호수에서 물을 공급받으며, 빗물이나 지하수도 물을 보충합니다. 이렇게 공급받은 물은 호수 내에서 증발, 지하수 유출, 강으로의 유출 등의 과정을 통해 순환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 속의 유기물은 미생물의 작용으로 분해되어 제거됩니다.

    그리고 호수의 특성에 따른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갈릴리 호수는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여 물이 유입되면서도 유출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호수 내의 염분 농도가 높아져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호수의 수심이 깊을 경우 물의 교환이 느려지면서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의 경우, 개울 보다 물의 양이 굉장히 많고 다양한 생명체가 공존해있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6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는 지하수와 연결돼 있어서 물의 유입과 유출이 있기 때문에 물갈이가 상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가 오랫동안 안 와서 지하에 머금고 있는 물이 줄어든다면 호수의 물갈이는 이루어지지 않고 호수도 썩어간다고 하네요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가 고여있기는 하지만 흐름성이 전혀 없진 않습니다.

    인공적으로 만든 저수지가 아닌이사

    잔잔한 호수도 그 안에 물이 순환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가 썩지 않는 것은 물에 있는 유기물을 미생물이 깨끗이 먹어 치워 완전히 분해하기 때문입니다

    오염된 자연환경이 저절로 꺠끗 해지는것은 자정 능력으로 미생물이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물은 자정능력, 즉 스스로를 정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오염물질이 들어오지 않는 이상 호수는 썩지 않습니다.

    또한 호수에는 물고기 등 뿐만 아니라 많은 양에 플랑크톤, 수생 식물 등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들이 호수를 정화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호수가 고여있는 물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생명이 그곳에서 살아갈 수 있는 겁니다.

    예를 들어 수생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만들고 물속을 정화 작용을 합니다. 물론 다양한 생물에 먹이가 되기도 하고요. 이 과정서 플랑크톤이 산소를 흡수하고 물속에서 살아가며 많은 물고기와 생물들에 먹이가 됩니다.

    물고기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식물에 뿌리를 통한 이산화탄소 흡수를 돕고, 갑작스러운 변화로 대량이 죽지 않는 한 죽음을 맞이한 후 플랑크톤 등에 먹이가 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호수는 작은 생태계를 이루고, 물에 산소 이산화탄소 등에 농도를 조절하여, 물이 썩지 않고 생명이 살아갈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