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3.21

키크기위해서 어떤것들을 해야하나요?

나이
32
성별
남성

키 크기위해서는 단지 유전적 요인이 제일 크게 작용하나요?

성인이 된 후에는 더이상 키가 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며, 성인 이후에도 키큰 사례들이 있던데 그건 어떤 경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유전적으로 최대 클수있는 키가 정해져있으며 환경적으로 나쁜 영향을 주면 키가 작아질수는 있다고 합니다.


    충분한 적당한 운동등으로 조절하시는게 최선이겠습니다


  • 키가 크는 것에 있어서는 유전적인 요인이 제일 크게 작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성인이 된 이후에는 보통 성장기가 지나 성장판이 닫혔기 때문에 키 성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성인이 된 이후에도 키가 컸다면 성장판이 열려있어서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성인의 키는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만, 그 외에도 영양, 운동, 호르몬,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뼈 성장판은 사춘기 무렵 호르몬의 영향으로 활발히 성장하다가, 사춘기 후기에 닫히면서 더 이상 키가 크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개인차가 있어 일부에서는 성장판이 20대 초중반까지 열려있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늦은 성장 스퍼트로 인해 성인기 이후에도 어느 정도 키가 클 수 있죠. 또한 규칙적 운동, 균형잡힌 영양 섭취 등으로 남아있는 성장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뇌하수체 종양 등 내분비계 질환으로 인해 성장호르몬 분비 이상이 생기면, 성인기에도 비정상적인 키 성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컨대 유전적 요인이 성인 키를 결정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지만, 후천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은 사춘기 이후 성장판이 닫히면서 자연스럽게 키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성인기 이후의 키 성장은 매우 제한적이고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키성장에 가장 중요한건 유전적인 요인입니다.

    얼굴 생김새가 부모님을 닮는것처럼요.

    성장판이 남성은 만18세, 여성은 만16세경 닫히기 때문에 이 이후에는 키가 클 수 없습니다.

    키가 크는건 장골이라고 하는 뼈들의 끝에 있는 성장판에서 뼈가 길어지기 때문인데 이 뼈들이 성장판이 닫히면 더 이상 길어지지 않기 때문에 키가 클 수 없습니다.

    이 성장판에서 성장을 촉진하는게 성장호르몬인데 성장기에 성장호르몬이 과다분비되는 경우 거인증이 되지만 성장기가 끝나고 성장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경우에 거인증이 아니라 말단비대증이 생기는걸 보면 성장판이 닫히고 나면 키가 클 수 없다는걸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성인 이후에 키 큰 사례들이라고 하셨는데 허리를 폄으로써 자세가 변해서 미미한 키의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실제로 뼈가 길어진건 아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성인이 된경우는 골말단의 성장판에서 골성장이 끝난것을 의미하여 더이상 성장을 기대하기는 힘들겠으며 간혹 성인이 키가 크는경우는 성장판 성장이 늦게 종료된 경우 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