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24.04.02

수증기는 액체인가요 기체인가요.?

요즘 비가 자주 오다보니 습도가 높은 경향이 있는데요.

대기중에 습도는 보이지 않는 수증기의 영향이라고 하는데 수증기도 결국 물이잖아요

그러면 수증기는 액체인가요 기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리호리한불곰386
    호리호리한불곰386
    24.04.04

    안녕하세요. 어뷰징 신고 완료입니다.

    수증기는 공기중으로 날라가기때문에 기체입니다

    기체이이 모이면 액체가 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호리한불곰432입니다.

    당연히 수증기는 기체입니다. 이런 수증기가 모여서 물이 된다면 그때 액체라고

    봐야 합니다. ㅎ

  • 안녕하세요. 따뜻한원앙279입니다.

    수증기는 기체 상태입니다.

    수증기가 물인것은 달라지지 않지만 공기중의 떠다니기 때문에 액체보다는 기체상태라고 말하는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나의 존재마저 너에게 흠뻑주고입니다.

    수즌기는 당연히 기체오 보시는게 맞고 그 기체가 모여서 액체가 되는 것으로 수증기 자체는 액체라고 표현하기보다는 기체가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창백한 푸른점입니다.

    수증기는 당연히 기체입니다. 기체로 있다 응결이 되면 그때서야 비로소 액체로 변했다고 봐야죠

  • 안녕하세요. 라미지니입니다.

    수증기는 물이 온도나 압력에 의해 변화하여 생긴 기체이며, 색깔과 냄새가 없고, 투명합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액체 상태의 물방울인 김과는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행복한희망인입니다.

    수증기는 기체 상태입니다. 수증기는 물이 기체로 변한 상태를 말하며, 이는 물의 온도가

    100도 이상이 되었을 때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