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5.17

아르헨티나 경제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아르헨티나 경제상황이 심각한데요.

어떻게 금리를 97%까지 올리는 상황이 되었나요?

그리고 한 나라가 경제가 이렇게 안좋아지면 주변국들에게는 영향이 없을까요?

세계 경제는 원래 연쇄적으로 피해를 보는 구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가 현재처럼 망가지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

    • 높은 수준의 국가 부채 현황

    • 과도한 복지 포퓰리즘 정책

    • 기간산업의 분산 실패 - 대부분이 농업 원자재 수출 위주로 세계 경제 변화에 따른 취약한 구조

    • 기간산업들의 국유화로 인한 경쟁력 상실

    • 정치적인 불안정성

    위와 같은 이유들이 지속적으로 아르헨티나의 경제를 망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아르헨티나는 이로 인해서 IMF에 구제금융을 가장 많이 요청하는 국가 중의 하나가 된 상태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와 같은 경우 표풀리즘 정책 등으로

    경제가 망가졌고 인플레이션이 너무 지나쳐

    금리를 정말 높은 수준까지 오르게 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 장기화 여파와 정치적 혼란 심화로. 페소화 평가절하 및 정부부채 디폴트 가능성이 현실화되면서 아르헨티나 경제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중남미 주변국으로 외환위기가 파급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 경제 이슈가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과 페소화 가치 하락이라고 합니다

    시장에 통화량이 너무 많아서 생기는 문제들이기 때문에 줄이기 위해선 예적금같이 개인의 돈을 은행같은 곳에 묶어둘 필요가 있겠죠

    때문에 금리를 인상시키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에 가난한 사람들이 파산한다고 나라가 망하지 않습니다

    차라리 부의 평균이 올라가겠죠

    그냥 내버려두면 됩니다

    [공립 학교의 경우 2001년 의무교육 과정에 입학한 69만 명의 학생들 중 정상 시기[34]에 졸업한 학생은 입학생의 25%인 17만 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한국으로 치면 초등학교 입학한 학생들 중 25%만 정상적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한다는 얘기다. 아르헨티나의 교육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남미국가는 여러차례 군정권이 들어왔었고 무리하게 외화를 끌어모아 중상공업에 투자하고 실패했던 나라입니다

    아르헨티나가 그랬고 또 실패를 돌려막기로 막았기 때문에 계속 망해왔죠

    위에 보시는 거처럼 교육률이 떨어지고 춤과 노래 놀이문화가 많으며 범죄 강도 소매치기라던가

    국가 지도자의 부정부패가 심하다고 하네요 그러니 메시를 대통령으로 추대하기도 하지요

    국가경제는 결국 국민의 수준 그리고 지지자 유권자들의 수준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