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23.08.14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보시는 무엇인가요?

보통 스님들이 중생들에게 보시를 한다고 표현을 많이 하는데요. 특히 우리나라에 아주오랜 옛날부터 전해들어온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보시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승불교의 보시가 무엇인지가 궁금하군요.

    보시는 보살의 실천 덕목인 육바라밀 가운데 제1의 덕목입니다.

    단나 등으로 음역합니다.
    보시란 널리 베푼다는 뜻의 말로서, 자비의 마음으로 다른 이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베풀어 주는 것을 뜻합니다.
    베푸는 것에는 재물로써 베푸는 재시와 석가의 가르침,
    즉 진리를 가르쳐 주는 법시,

    두려움과 어려움으로부터 구제해 주는 무외시의 셋으로 구분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시는 한자로 된 불교용어 중에 읽는 법이 색다른 것 중 하나로, 포시(布施)라고 쓰고 보시라고 읽습니다. 여기서 포(布)는 ‘널리·두루’라는 의미의 보(普)와 같은 뜻이며, 시(施)는 ‘베푼다’는 뜻입니다. 이는 산스크리트어 dāna를 번역한 것으로써 ‘나 아닌 다른 대상에게 무언가를 두루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가 있는 것을 나누어 주는 기부라고 이해하면 좋을 듯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반야의 지혜에 입각해 중생의 구제를 목표로 실천하는 불교수행법입니다.

    보시는 스스로의 깨달음을 얻는 수행의 결실과 함께 구제받지 못한 세상의 모든 유정물을 구제해준다는 이타의 서원에 그 근거를 둡니다.

    보시는 이종시, 삼시, 사시, 팔동시 등으로 분류, 이종시는 재시와 법시로 나누어지고, 삼시는 재시와 법시와 무외시로 나뉘어집니다.

    재시는 누구든지 구하는 사람이 있으면 능력에 따라서 재물을 , 스스로 인색하고 탐욕한 생각을 버려 구하러온 사람으로 하여금 기쁨을 얻게끔 하는 것

    법시는 중생이 진리를 구하러 오거든 자기가 아는 대로 좋은 방편을 써서 이야기해주되, 명예나 이익이나 존경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수도상의 이익과 남의 구제를 위하여 이익을 줄 수 있게 되기만을 염원하며 행하는것

    무외시는 어떤 사람이 재액을 만나고 어려운 일을 당하여 공포와 위험 앞에 놓여 있을 때 자기가 스스로 그 난을 받아 감당하고 그 사람을 공포 속에서 구출해 내어 평화와 안전을 베풀어주는 것

    삼시는 굶주인 이에게 먹을 것을 주는 음식시, 가난한 이에게 재물을 주는 진보시, 정법의 수호를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신명시 등으로 분류합니다.

    팔종시는 나에게 가까이 오는 사람에게 보시하는 수지시, 재물이 없어지거나 못 쓰게 될 것을 걱정해 차라리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보시하는 포외시, 먼저 보시를 받은 은혜를 갚기 위해 그에게 도로 보시하는 보은시, 지금 저에게 보시하고 다음에 그에게서 보시받기를 바라는 구보시, 조상에게 배워서 보시하는 습선시, 하늘에 나기를 바라서 보시하는 희천시, 좋은 소문이 나기를 바라서 보시하는 요명시, 마음을 장엄하여 아끼는 마음을 없애고 정을 얻어 열반의 즐거움을 억디 위해서 보시하는 위장엄심등시 등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승(大乘) 불교의 핵심적인 실천 수행법의 하나. 우리 나라 불교에서 특히 중요시함. 보시란 베풀어주는 일[施與]을 말하는데 중생의 구제를 목표로 삼는 이타(利他) 정신의 극치임. 하지만 점차 그 정신은 자신과 가족의 미래와 사후 세계를 위해 공덕을 쌓는 방편으로 변화되었음. ①6 바라밀의 하나. 자비심으로써 물욕을 갖지 않는 재시(財施), 가르침을 혼자서만 간직하지 않는다는 법시(法施), 남의 어려움을 대신 감당하여 공포에서 구출해내는 무외시(無畏施) 등이 있는데 우리 나라의 보시는 이 3 시설을 채택하고 있음. 이 외에 4종•5종•7종•8종으로 나누기도 함. ②4 섭법(攝法)의 하나. 재물을 구하면 재물을 주고, 법을 구하면 법을 보시하여 친애하는 마음을 내게하여 중생을 섭수(攝受)하여 교도(敎導)하는 것. ③지금은 흔히 신도들이 승려들에게 독경을 청하거나 불사를 행하고 보수로 금전이나 물품을 주는 것을 보시라고 말함.

    출처 : 한국고전용어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시란, 반야의 지혜에 입각해 중생의

    구제를 목표로 실천하는 불교수행법입니다. 보시란 스스로의 깨달음을 얻는 수행의 결실과 함께 구제받지 못한

    세상의 모든 유정물을 구제해 준다는

    이타의 서원(誓願)에 그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