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23.05.22

우리나라 '시인, 작가'들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의 '시인, 작가' 님들 중에서 정말 훌륭한 분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노벨상을 배출하지 못한 것이 정말 해석의 문제, 표현의 문제 때문에 그런 것인가요?

아니면, 객관적으로 세계적인 시각에서는 미치지 못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작품성과 예술적인 측면에서는 충분하다고 생각이 되어지는데 말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문학작가들 중에 정말 시적으로 아름답고 뛰어난 작품들이 많은 데도 불구하고 노벨문학상과 인연이 없는데요.

    우리나라에서 노벨문학상이 나오지 않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한글이 가지고 있는 미묘한 뉘앙스와 감성을 번역하는것의 한계로 인해 한국 작품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소복소복'이라는 표현은 단어만 들어도 눈이 다소곳이 소담하게 쌓여있는 정취가 시각적으로 그려지는 단어인데요. 한글은 이런식으로 단어하나에게 그 순간의 심상이 느껴지는 한글만의 정취가 있지만 영어로 번역할때는 그런 것이 다 사라지게 되어 고유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예술성이나 작품성이 많이 깎이게 되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는 한국에서 문학이 인정받고 있지 않다는 겁니다. 한국은 정말 책을 읽지 않는 나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몇년전 미국 평론가가 쓴 컬럼에서는 '상위 선진국 30개국 가운데 독서 시간이 가장 적은 나라가 바로 한국'이라고 비판했고 노벨문학상 수상에 고은 시인 작가 이름이 거론되지만 한국에서 고은 시인의 시는 사람들이 읽지 않는다고 비판했는데요. 사실 국내에서 외면받는 문학으로 인해 해외에서도 인정을 받기 어렵게 되는 상황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 또는 한국어는 한단어가 여러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해석이 어렵기때문입니다.

    이를 해석하기 위해 작가에게 문의 후 의미를 파악하고 번역과 해석을 해야 하는데 외국어로 해석하려면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어떤 외국어 단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집니다.

    또한 한글에서 외국어로 해석이 불가능한 단어가 많이 때문으로 다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할 시 작가가 직접하지 않으면 해석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시나 소설 등은 우리나라의 시대적 배경을 모르면 이해 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일제 강점기의 우리 나라 현실과 중국의 만주 상황 그리고 조선 사회의 신분 질서 등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아무리 번역을 잘 한다고 해도 대하 소설< 토지> 와 같은 소설의 위대함을 알지 못 할 것 입니다. 그리고 일제 시대의 암울한 시대 상황과 그 괴로움에 대한 지식인의 슬픈 현실을 이해 하지 못하면 윤동주의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라는 시가 그냥 단순한 서정시 처럼 느껴 질 수 밖에 없습니다.즉, 우리나라 작품들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 해방후의 4.19와 5.16 군사 혁명, 그리고 광주 민주화 학생 운동에 이르기 까지 수많은 역사적인 근 현대사의 사건을 배경으로 쓰여진 우리 민족의 한을 다룬 작품들이 너무나 많기에 그에 관한 배경 지식이 없이는 아무리 영어로 번역을 잘해도 그 맛이 나지 않기 때문 입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그래도 많은 작품들이 노벨상을 받는 작품들도 나오리라고 기대 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