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우여니네
우여니네22.05.18

마취후 맥박수30이하로 떨어짐

나이
4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강직성척추염약비스테로이드.
기저질환
강직성척추염.기립성저혈압

처음으로 위대장 내시경을 하기위해 미다졸람을 아주 미량 투입후 맥박 30이하로 갑자기 내려가서 시술 시작을 못했어요(3년전은 제왕절개 마취이력있음)이런적이 없었어요.

위내시경할때 무마취로 진행해야한다고 하네요..그래서타과의로도 해주셔서 순환기내과 진료예약만 한 상태입니다.

개인병원에서 심전도와 엑스레이는 했는데

정상이었고.심장크기도 보기에 괜찮다고 했습니다.

두달전에는 호흡이 힘겨운 느낌이 있어서 자주는 아니고 가끔 호흡이 내쉬거나 들이쉴때 약간의 답답함이 좀 느껴질때가 종종 있어서 이런증상도 심장쪽이 안좋은건지요?

또.폐기능검사를 해야하나요? 추가적으로 어떤검사가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서맥이 좋아지는 운동이나 다른대책이 있을까요?

기저질환이(강직성3년됨 매우약함/기립성저혈압 지금은 괜찮음) 있어서 마취진정제가 영향이 있었던걸가요? 호흡곤란이 종종있는것도 관련성이 있는지요..

답변미리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기본적으로 호흡곤란 증세가 있다면 호흡기 내과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보시고 동맥혈 검사, 산소포화도, 엑스레이, 심전도, 폐기능 검사등을 통해 객관적으로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이 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하여 후유증을 겪고 있는 환자들이 많으며 그 중 상당수가 호흡곤란 증세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맥은 심장 검사가 정상일 경우추가적으로 검사를 해봐야겠지만 약물에 대한 비특이적으로 발생하는 부작용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전신마취할때는 다른약을 썼을거고

    서맥을 예방한다거나 개선하는 법은 없 습니다

    다만 증상이 느껴지는 서맥같은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

    순환기 내과 진료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심장관련 검사에서 문제가 없었다면 마취약에 대한 이상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마취를 할 때 이에 대해 알려주시면 되며 추가적으로 혈압이나 맥박에 문제가 있다면 순환기 내과 진료를 통해

    약물 치료 등을 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말씀하신 정보만으로 정확한 상태 및 원인을 알 수는 없지만 심혈관계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다면 단순히 질문자님께서는 미다졸람에 의한 맥박 저하 부작용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왕절개를 할 때에는 마취제로 미다졸람을 쓰지 않기 때문에 당시에 이상이 없었던 것은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심혈관계의 이상이 없다면 약물 부작용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아야 하며 추후에 미다졸람 사용할 경우 반복적으로 맥박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일시적으로 약제로 인해서 서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서맥이 발생할때 급사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순환기내과 진료를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건강상에 문제가 있어서 맥박이 과도하게 떨어졌다기 보다는 약물에 반응이 높으신게 이유같습니다.

    같은 약이라도 사람들마다 반응정도가 천차만별이니깐요.

    서맥을 좋아지게 할만한 운동은 없습니다. 증상을 유발하는 서맥의 경우는 순환기 내과 진료를 받으시면 들으시겠지만 페이스 메이커라고 하는 인공 심박기를 사용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미다졸람 용량을 조절하거나 수면제 종류를 바꾸는 것을 고려해보는것도 방법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