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영특한파랑새70
영특한파랑새70

퇴사 후 국민건강보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20대이고 한달 전 퇴직을 하여

집에 ‘임의계속가입자’ 신청하라고 우편이 날라왔습니다.

근데 보통 퇴직 후 일하고 있는 가족 밑으로 ‘피부양자 등록’을 하면 보험료 부담이 줄어든다는 얘기가 있던데 뭐가 더 나은 건지 모르겠어서 보험공단 상담하기 전에 여기에 먼저 여쭤봅니다ㅠㅠ!

1. 임의계속가입자를 하는게 더 나을까요?

2. 저희 아버지께서 직장은 다니시는데 지역가입자로 되어있으셔서 아버지 밑으로 피부양자 등록하는게 더 나을까요?

어떤게 비용부담이 더 적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임의 계속 가입은 지역가입자 건보료가 더 많을때,

    퇴사전 직장가입자의 건보료로 3년간 유지가 가능 합니다.

    하지만, 가족 중 밑으로 피부양자 등재를 할수가 있다면,

    임의가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피부양자 일때에는 건보료를 부과 하지 않습니다.

    2번으로 진행 하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재산 등이 적어서 지역의료보험이 더 저렴하거나 또는 피부양자로 가입이 가능한 경우에는 임의계속 가입자를 안하셔도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임의계속은 퇴직 후 3년까지 유효한 보험입니다.

    즉, 임의계속은 기존에 납부하시던 건강보험료를 3년 동안 납부를 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피부양자로 등록이 되시는 되면 보험료는 납부를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즉, 피부양자 자격이 되시면 당연히 임의계속을 이용하시지 말고 부모님 밑으로

    들어가는 것이 유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퇴사 후 피부양자로 등록하는 게 비용 부담이 훨씬 적고, 가족 밑으로 등록하는 게 유리합니다.

    아버지께서 직장인이라면 피부양자로 등록하는 게 보험료 절감에 도움이 되고, 3년 동안 건강보험료 부담 없이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장기간 취업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면 아버지의 피부양자로 등록하여 건강보험 혜택을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