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24.04.18

조선시대에는 어떤 품목을 주로 수출하였나요?

조선시대에도 무역 활동이 활발했다고 하던데 조선시대에 수술을 했던 대표적인 품목은 어떤 품목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조선 초기와 후기와 많이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국내의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

    대청 공무역품은 품목과 수량이 대체로 일정하였으나 사정에 따라 변동하는 경우도 많았다. 대청관계가 정상화된 영조 때의 사례를 보면 찹쌀 40포, 세포(細布:곱고 가늘게 짠 삼베) 3,000필, 명주 400필, 흰 모시 200필, 각종 화문석 20령(領), 종이 2,000권, 수달피 300장, 녹비 100장 등을 세공으로 바쳤고, 이에 대한 청나라의 답례품은 고급주단·초피(貂皮:담비 종류의 모피의 총칭)·견·방사·은·약재·서적 등이었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151#section-7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조선시대의 수출품의 주력은 쌀, 콩, 그리고 우피였습니다. 1880년대까지 콩이 가장 큰 수출품으로, 안정적인 작황과 일본의 식료품공업을 위한 원료 수요로 인해 주목받았습니다. 그러나 쌀의 경우 작황 불안으로 인해 매년 수출량이 크게 변동했습니다. 특히 흉년 시에는 조선왕조가 쌀의 대일 수출을 제한하는 방곡령을 내렸습니다. 우피는 수출의 주력이었던 적이 몇 차례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피혁공업이 발달하지 않아 우피에 대한 수요가 높았기 때문입니다. 1890년대부터는 산업화된 일본의 도시 인구 증가로 인해 조선 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쌀의 수출이 급증했습니다.

    수입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면포였습니다. 특히 1880년대까지 수입된 직물의 80% 이상은 영국산이었습니다. 초기에는 일본과 중국이 영국산 제품을 중개하는 구조였으나, 일본이 산업화되면서 이 구조는 변화했습니다. 1896년에는 수입 직물의 90% 이상이 일본산이었습니다. 청일전쟁 이후에는 조선과 일본 간의 무역이 농산품인 쌀과 공산품인 면포가 서로 교환되는 종속적인 관계로 정착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무역 품목으로는 인삼이 있었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중국과의 무역에서 은이 부족할 경우 인삼을 중국으로 가져가 팔아서 부족한 은을 메우는 식으로 무역이 이루어졌으며, 일본에서는 인삼이 같은 무게의 은과 교환할 수 있을 만큼 고가품으로 여겨졌습니다. 이후 일본이 인삼 생산에 성공하고 중국과 직접 교역하면서 교역량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인삼은 조선의 주요 무역 품목 중 하나였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사상(私商)층의 형성, 후시무역의 발달, 거상(巨商)의 성장 등의 모습이 보였으며, 개성 상인의 경우 우세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전국의 상업 중심지에 송방(松房)이라는 지점을 차려 활동했습니다. 이러한 송방은 오늘날의 종합무역상사의 전신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는 농업이 최고의 산업이라는 슬로건 하에 상공업이 극도로 제한을 받았고, 신분제도상 공업과 상업 종사자는 사회 밑바닥 인생으로 치부하는 분위기 때문에 상공업이 꽃을 피울 여건이 되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나라가 망국으로 끌어당겨지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 글을 참고부탁드립니다.


    조선시대에서는 쇄국주의가 엄격히 수행되었다. 따라서 대외무역은 상당히 소극적이었으며, 표면적으로는 고려시대에 비해 발전된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리고 당시 조선이 국교상 피압박적인, 열등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명(明) · 청(淸) 등 강대국에 대한 조공무역은 전시대와 다름없이 강행되었다.

    명나라와의 교역에 있어서 수출되는 방법은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조선측 사절이 명나라에 들어갈 때 우리의 물화를 가지고 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 나라에 온 명나라의 사신이 귀환할 때 가지고 가는 경우이다. 이 경우 수출되는 성격이나 수출물화의 양과 종류는 각기 달랐다.

    여러 가지 기록을 통해 볼 때 당시의 수출물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물량도 많았음을 알 수 있는데, 대강 수출물화를 본다면, 포직류 · 동물 · 지류 · 금은 및 은제품 등 생활필수품 또는 생산재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건국 초기에는 말이 수출품 중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한다. 조선 후기의 대청무역도 전기의 대명무역과 같이 사절단의 무역으로 시작되었으며, 그 전개양상도 불평등무역관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었다.

    대청조공품 및 수출품도 조선이 공물형태로 수납한 농민수공업제품 및 관영수공업제품으로서 그 대부분이 국내의 생활필수품이었기 때문에, 결국 일반국민의 부담은 더욱 가중되었으며, 반면 수입품은 대부분이 사치품이어서 대외무역으로 경제적 실리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당시에는 원칙적으로 사무역이나 잠무역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국경호시의 사무역이 공무역보다 훨씬 번성하였다.

    그리하여 1754년(영조 30) 조선 정부는 마침내 사상인의 물품에 관세를 부과하여 재정수입을 증가시키기로 하고 사무역을 공인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조선의 수출품으로는 소 · 말 · 돼지 · 쌀 · 종이 · 호피 · 해삼 · 모발 · 저포 · 면 · 금 · 명주 등이었는데, 주요 물자의 수출은 막대한 양에 달하였다. 한편, 대일무역도 성행하였는데, 주요수출품은 각종 직물과 대장경 · 인삼 등이었으며, 그 중 면직물이 대종을 이루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조선의 수출품으로는 소 · 말 · 돼지 · 쌀 · 종이 · 호피 · 해삼 · 모발 · 저포 · 면 · 금 · 명주 등이었는데, 주요 물자의 수출은 막대한 양에 달하였습니다. 한편, 대일무역도 성행하였는데, 주요수출품은 각종 직물과 대장경 · 인삼 등이었으며, 그 중 면직물이 주요 수출품입니다.

    대일무역은 원칙적으로 공무역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사무역과 밀무역도 상당히 행해지고 있었습니다. 이 밖에도 조선시대에는 타이 · 자바 · 인도네시아 등의 남만제국과도 교역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후기에 이르러서는 직접 · 간접으로 서구자본주의제국과도 접촉하게 되었습니다. 전통사회에서의 수출은 국제분업의 이익추구 등을 위한 국민경제적 이해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기보다는 주로 강대국과 약소국간의 정치적 의례 내지는 인접국간의 상호교린관계 등에 따라 수행된 것이 그 특징입니다.

    건국 초기에는 말이 수출품 중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조선 후기의 대청무역도 전기의 대명무역과 같이 사절단의 무역으로 시작되었으며, 대청조공품 및 수출품도 조선이 공물형태로 수납한 농민수공업제품 및 관영수공업제품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조선시대의 쇄국주의는 대외무역을 제한하고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정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대외무역은 활발하지 않았고, 고려시대에 비해 발전이 미비했습니다. 조선은 국제사회에서 피압적이고 열등한 위치에 있어서 명(明)나 청(清)과 같은 강대국에 대한 조공무역을 강요받았습니다.

    조선과 명나라 간의 교역은 주로 두 가지 형태로 나뉘었습니다. 하나는 조선의 사절이 명나라를 방문할 때 우리 물품을 가져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명나라 사신이 조선에 오면서 가지고 가는 경우였습니다. 이로 인해 수출되는 물품의 성격과 양은 다양했습니다.

    기록을 통해 조선시대의 수출물품이 다양하고 양도 상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로 포직류, 동물, 지류, 금은 및 은제품 등의 생활필수품과 생산재가 수출되었으며, 건국 초기에는 말이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대청무역이 시작되었지만, 이 역시 불평등무역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대청조공품 및 수출품은 주로 농민수공업제품 및 관영수공업제품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은 국내의 생활필수품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반국민의 부담은 가중되었고, 수입품은 주로 사치품으로 대외무역에서 경제적 이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조선 말기에는 국경호시의 사무역이 번창하면서 공무역보다 더욱 활발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