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06

건물의 백화 현상이 일어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건물을 지어 놓고 시간이 지나면 외벽에 백화현상이라는 것이 생기던데 이렇게 건물을 지어 놨을 때 백화 현상이 생기는 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건물 외벽이 콘크리트, 시멘트모르타르, 타일 등으로 마감했을 때 그 표면에 백색물질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현상은 시멘트의 가용성 성분인 수산화칼슘이 표면으로 삐져나와 수분이 증발되면서 발생하거나 공기 중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석회석성분인 탄산칼슘이나 황산칼슘으로 변하여 표면에 침착하여 발생한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건물의 백화 현상은 벽돌, 타일, 미장면 등의 표면에 하얀 염분 가루가 남는 현상입니다.

    그리고 이 현상은 벽체에 존재하는 염분과 습기가 만나 발생하며, 염분이 발생하는 원인은 벽돌 자체의 결함이 있는 경우와 시공 과정의 미숙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건물의 백화 현상은 건물 외벽에 시멘트에 있는 알칼리 염류가 물에 녹아 나와 발생되는 것입니다. 비가 오거나 결로, 습도가 높거나 해서 시멘트에 물이 스며들고 그 물에 시멘트의 염류가 녹아서 밖으로 나오면서 태양 빛에 의해서 물은 증발되고 염류만 남의면서 백화 현상이 발생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건물의 외벽면에 백화현상은 시멘트에서 석회질(수산화칼슘)이 표면으로 나와서 수분이 마른 후 하얗게 표면 침착되거나 공기 중 탄산가스와 반응해서 탄산칼슘으로 변해서 침착되면서 외벽면을 오염시키는 것입니다.

    주원인이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째, 벽에 습기가 침투해 벽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면서 석회질을 활성화시키고, 표면에 굳어져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벽이 너무 많은 물을 흡수하거나 오랜시간 물기가 남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멘트 배합시 물의 양이 너무 많을 때 나타납니다.

    셋째, 상하수관이나 우수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습기가 침투하여서 첫째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남으로써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재료를 잘못 선택하거나 시공방법이 잘못되어도 백화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재료에 염분이 있거나 주변 환경상 공기 중에 염분이 많이 섞여 있을 때도 발생하는 등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위 세가지가 더 많이 나타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건물의 외벽에 백화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시멘트의 수화 반응과 외벽의 오염물질 때문입니다. 시멘트는 물과 결합하여 수화 반응을 일으키면서 단단해집니다. 이때, 시멘트는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데, 수산화칼슘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탄산칼슘으로 변합니다. 탄산칼슘은 하얀색을 띠기 때문에, 시멘트의 표면에 백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외벽에 오염물질이 쌓이면, 백화 현상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오염물질은 시멘트의 표면에 달라붙어 수산화칼슘과 결합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6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백화현상은 건축물의 시멘트, 벽돌, 타일, 석재, 콘크리트등의 표면에 생기는 흰색의 결정체를 지칭합니다.
    백화현상의 발생은 그늘진 면 ,습기가 마르지 않는 면, 낮은 기후 조건등으로 화학적(수산화칼슘+탄산칼슘)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백화현상 원인으로는 설계 미비 , 재료와 재료 사이의 수밀성 미확보로 우수 침입,마감재료의 화학적 반응,시공시 이음새 부위 불량으로 물침입등이 원인으로 볼수 있습니다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습도 차이: 건물의 백화 현상은 주로 실내와 실외의 습도 차이에 기인합니다. 실외의 공기는 일반적으로 더 습도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건물 내부는 보통 난방 또는 냉방 시스템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건조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외의 습한 공기가 건물 내부로 스며들면서 차가운 표면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백화 현상이 발생합니다.

    2. 온도 차이: 온도 차이도 백화 현상에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실외의 온도가 실내보다 낮을 때 백화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합니다. 차가운 외부 공기가 건물의 창이나 벽 등 따뜻한 표면과 접촉하면서 표면의 온도를 낮춥니다. 그리고 습도와 결합되어 응축되어 백화 현상을 초래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백화현상이란 벽돌을 접착시키는 모르타르의 석회분이 빗물에 의하여 유출되어 수산화칼슘이 되어 표면에 유출될 때 공기 중의 탄산가스 또는 벽돌의 유황성분과 결합하여 흰 가루가 생기는 현상을 말하며. 미관상 좋지 않아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