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23.06.08

아이에게 어떤 상황에서 칭찬해주는것이 좋나요?

아이를 키울때 어린 시절 혼이 많이 난 편이라 요즘에는 다들 칭찬하면서 키우는 교육을 하더라구요

그런데 또 너무 다 칭찬하면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너무 목표지향적이 될수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러면 아이를 칭찬해줘야하는 상황은 어떤 상황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결과만을 가지고서 칭찬보다는 과정을 위한 노력등을 칭찬해주어야하며 공감이 되는 칭찬을해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잘못된 칭찬은 아이에게 오히려 독이 됩니다. 너무 많은 칭찬이 잘못이 아니라 칭찬 방법이 잘못되면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에게는 반드시 결과칭찬이 아니라 과정 칭찬을 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달리기를 1등을 했을 때 " 잘 했어" 가 잘못된 결과 칭찬입니다.

    아이에게 " 힘들었을텐데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달리는 것이 정말 대단하구나" 라는 과정칭찬을 해야 합니다.

    결과 칭찬을 받고 자란 아이는 결과에만 집착을 하게 되고, 어려운 일을 시작할 때 나쁜 결과가 나올까봐 두려워 도전을 하지 않거나 쉽게 포기하게 됩니다. 혹은 결과에 집착해서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거나 분노를 폭발하게 됩니다.

    과정 칭찬을 받은 아이는 새로운 일에 도전하기를 어려워 하지 않으며 결과에 상관없이 자신이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기쁨을 얻습니다.

    아이의 작은 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칭찬을 해 주셔야 하며 그렇게 과정 칭찬을 많이 받고 자란 아이가 자존감과 자신감이 높은 아이로 자랍니다.

    결론적으로 칭찬은 늘 , 자주 하시되 결과 칭찬이 아닌 과정 칭찬을 해 주셔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0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에 대한 결과보다는 노력을 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칭찬을 해주고 실수를 할 때도 격려를 해주시는 것이 자신감을 가지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히 당연시 해야하는것이고 아이가 생활에 있어서 생존이나 필요성으로 해야하는것을하는것에 대해서는 굳이 칭찬하지

    않아도 무관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노력을 칭찬해주세요. 다른 사람을 기분 나쁘게 만들지 않고 자녀 중 하나를 칭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도구 중 하나는 성과보다는 노력에 관해 칭찬하는 것입니다.

    이때 진심으로 요령껏 해야 합니다. 자녀 중 한 명을 칭찬할 때 어조나 그 정도를 너무 과장하지 마세요.

    단체활동을 잘 하였을 경우도 칭찬해 주세요. 그외에도 어른의 기준이 아닌 아이 기준에서 칭찬할 일이 생긴

    경우 적극 칭찬해주시는 것이 아이에게 좋습니다. 칭찬을 아끼지 말고 많이 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진정성 있는 칭찬이 되기 위해서는 과장된 칭찬보다는 구체적인 칭찬을 하셔야 합니다. 무조건 '최고다', '잘했다' 보다는 어떤 점이 이렇고 저래서 좋다는 등 구체적으로 칭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결과보다는 아이의 노려과 과정을 칭찬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과에 대한 칭찬만 듣는 아이는 점점 잘해야만 칭찬을 듣는다고 생각하면서 결과지향적이게 되기 쉽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최선을 다했고 후회가 없을 때에

    칭찬을 한다면 아이도 자존감도 상승하고

    좋을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지요.

    아이들에게 칭찬은 식물에 주는 물과 같습니다.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해주시되 초점을 결과가 아닌 과정에 맞춰서 해주시는 것이 중요하지요.

    과정을 구체적으로 말씀하시면 아이가 쉽게 받아드릴 수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노력하는 모습에 칭찬을 해주시고

    이런 노력을 하여 성과를 이룬다면 칭찬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소하고 작은 일에도 칭찬을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듯이 아이들의 행동을 칭찬하면,

    아이도 더 바람직한 행동을 하려고 노력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아이의 결과물에 과한 칭찬을 하는 경우가 많은 데, 아이의 행동 하나 하나에 과정에 많은 칭찬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결과에만 너무 칭찬을 하게 되면, 글의 내용대로, 너무 목표지향적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정말 잘한 행동을 칭찬해 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예를 밥을 편식하지 않고 제자리에 앉아서 먹었을 경우, 자기 방 정리정돈을 스스로 했을 경우, 동생에게 장난감을 양보했을 경우 기타 등등 있겠습니다.

    자기 스스로 해냈다면 그 역시도 칭찬 받을 일이고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정말 잘못했다면 그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안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평상시 오고 가면서 슬쩍슬쩍 아이가 하는 행동의 과정을 말로 표현해주세요.

    예를들어 “색종이를 어떻게 접을까 생각하고 있네”, “동생 머리를 부드럽게 만져줬어.” 등과 같이

    아이가 뭔가 하는 그 과정을 열심히 언급해주시면 아이들은 더 큰 칭찬에 목을 매지 않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대화법과 칭찬을 통해 아이들은

    부모님에게 진정한 관심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