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8.13

현대사에서 제1공화국, 제2공화국등은 무슨의미인가요?

현대사를 보니까,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같은게 있더라구요, 제,4,5, 6공화국도 있구요, 그런데 현대사에서 제1공화국, 제2공화국등은 무슨의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공화헌정체제를 구축한 것이 제1공화국이고,

    제2공화국은 대통령중심제를 채택하였던 제1공화국의 1인독재의 경험 때문에 4·19혁명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해야 한다는 것이 당시의 시대적 사조로서 당연시되었다고 합니다.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이후부터 1960년 4·19혁명으로 6월 15일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까지 존속하였던 한국 역사상 최초의 공화헌정체제입니다. 이승만(李承晩)이 대통령으로 있었고, 자유당(自由黨)이 정권을 담당한 시대입니다.

    한국의 독립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의 회합이 결렬되자, 미국은 한국문제를 UN에 상정하였습니다. UN 총회는 1947년 11월 한국의 정부수립을 위하여 소련의 반대를 물리치고 UN 한국위원단(9개국 대표로 구성)의 현지파견을 결의하였습니다.

    1960년 4·19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1961년 5·16군사정변 때까지 존속된 두 번째 공화헌정 체제를 말합니다.

    1960년 6월 15일 개정헌법이 통과되고 6월 23일 새 선거법이 제정되어 8월 12일 민의원·참의원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국무총리에 장면이 선출됨으로써 1차내각이 이루어진 때로부터 1961년 5·16군사정변이 일어나기까지 존속된 한국의 두번째 공화헌정체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 1공화국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혁명이 발생하기 전 까지 지속된 대한민국의 첫번째 공화 헌정 체제 입니다.

    제 2공화국은 제 1공화국 체제가 모종의 이유로 붕괴, 혹은 변화되어 새롭게 수립된 다음 공화국 체제를 말하며, 1961년 5.16군사정변때까지 존속된 두번째 공화헌정 체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 나라의 역사에서 첫 번째로 생긴 공화국을 제1공화국이라고 합니다.

    첫 번째로 생간 공화국이 모종의 이유로 인하여 다시 한번 새로운 공화국이 들어섰을 때 제2공화국, 제3공화국이라고 하면서 이름을 바꾸어 나갑니다. 즉 공화국의 체제가 바뀌었다는 말입니다.

    한국을 예로 들면

    대통령제(제1공화국) - 의원내각제(제2공화국) - 대통령제(제3공화국) - 신대통령제(제4공화국) -과도체제(최규하 정부) -군정대통령제(제5공화국) -민주주의적 대통령제(제6공화국)으로 바뀌었습니다.

    공화국 순번이 늘어갈수록 파란만장한 현대사를 가졌다고 보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 민국에서 공화국이라는 것은 헌번 개정을 기준으로 이름을 붙이게 된 것 입니다. 에를 들어 대한민국 제6공화국(大韓民國第六共和國)은 대한민국에서 1987년의 6월 항쟁의 결과로 발표된 6.29 민주화 선언에 의해 1987년 10월 29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로 하여 민주적으로 개정된 헌법 제10호에 의해 성립된 노태우 정권 이였습니다. 만일 윤석열 대통령이 그의 임기내 개헌안을 통과 시킬수 있다면 그는 제 7공화국의 수장이 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