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꿀벌4590
꿀벌459023.04.21

왜 현대화시대에는 4공화국 5공화국이란 말을 썼을까요?

전두환이 나왔던 5공화국 드라마를 최근에 봤는데요

보통 유명했던 시대는 5공화국이더라고요

광주민주화운동도 있었던 시기이고

근데 그 공화국이라는 말이 독재라는 말과 비슷한 말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요 헌정 체제의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제헌 헌법부터 2차개헌 이승만 정권 시기까지 제1공화국


    3차 개헌으로 내각제가 들어선 시기가 제2공화국


    5.16군사정변으로 6차 개헌 시기까지가 제3공화국


    유신 헌법 선포 이후 박정희 암살 전까지가 제4공화국


    전두환 신군부 집권 이후 8차 개헌까지가 제5공화국


    9차 개헌부터 현재까지를 제6공화국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독재체체라는 것과는 다릅니다. 우리나라에서 제 몇 공화국으로부르는 이유는 헌법을 수정해서 국가 정치 체계가 바뀐 것을 의미 합니다. 예를 들어 제4공화국(大韓民國第四共和國)은 1972년 10월 유신으로 수립된 대한민국의 네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다. 유신 체제로 불리기도 하는 박정희 대통령 1인 독재 체제였습니다. 제5공화국(大韓民國第五共和國)은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탄생한 대한민국의 다섯 번째 공화국이며 전두환 전 대통령이 국정을 잡게 된 체체 이지요. 만일 유석렬 대통령이 헌법을 수정해서 대통령 임기 연임제등으로 수정 한다면 윤석렬 정부는 제 7공화국이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화제(共和制, Republic)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정체이다. 보통 군주가 없는 국가 체제를 가리키는데, 공화국이라는 말 자체는 '공공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 "Res publica"를 어원으로 하는 것으로 키케로는 이 표현을 '국민의 것'을 일컫는 '레스 포풀리'(res populi)로 풀이하여 오늘날 국민주권주의를 의미한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