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이 없던 시대에는 어떤것을 보고 생활을 추측했나요?
안녕하세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역사공부를 하는데 기원전에는 글로 기록을 남기지 않았는데 어떤것을 보고 생활을 추측했나요?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는 선사시대와 역사시대로 구분합니다. 그런데, 역사시대는 역사적 기록으로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알 수 있으나 기록이 없는 선사시대는 당시 사람들이 사용했던 유물이나 유적을 바탕으로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유물, 유적은 도구, 무기, 토기, 장신구, 바위그림 등으로 생산 활동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선사시대는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로 구분합니다. 이와 같은 분야를 연구하는 하는 학문을 고고학이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원전에는 글로 기록을 남기지 않은 시대이기 때문에 보통 유물들로 추측합니다. 유물은 사람이 사용했던 도구, 무기, 장신구 등을 말합니다. 유적과 유물을 통해 기원전의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어떤 문화를 가지고 있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자로 기록이 되지 않은시기는 각종 유물들과 화석 등을 통하여 생활을 추측합니다
예를들어 구석기 신석기시대 기록이 없지만
동굴벽화와 같은 간단한 그림들과 당시 돌로만든 도구들 등으로
어떤 생활을 하였는지 추측하곤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글이 발명되기 한참 전에도 불, 집, 도구로 쓴 돌조각, 유해 등등의 유물이 있었기 때문에
그걸보고 추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