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단정한산양75
단정한산양75

한국에서도 국내증시에서 코인 거래가 가능한 때가 올까요?

안녕하세요. 작년에 미국증시에 비트코인 etf와 이더리움 etf가 도입되었고 올해는 리플 솔라나 etf 상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듯 미국 자산 시장에서도 암호화폐를 인정하고 제도권에 들어온 상황인데

한국에는 언제쯤 들어올 수 있을까요? 그리고 안된다면 되지 않을 것 같은 이유는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에서도 금방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 당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되었을 때 우리나라 금융당국은 해당 상품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을 예상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 그러나 실제 우리나라에서 운용되는 거래소만해도 수개가 되는데 이를 막는다고

      경제파급을 막진 못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가능해질 가능성은 관련 법과 제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은 암호화폐를 거래소를 통해 개별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증권 시장 내에서 직접적인 암호화폐 거래나 ETF와 같은 상품은 도입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는 규제 환경이 아직 미비하고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암호화폐 ETF가 승인되면서 암호화폐가 자산 시장의 일부로 자리 잡아가는 반면, 한국은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인정하는 과정에서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의 변동성, 시장 조작 가능성, 투자자 보호 부족 등의 이유로 보입니다. 또한 국내 금융 당국은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간주할지, 별도의 자산군으로 분류할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어서 제도권 내로 들어오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가 국내 증시에서 가능해지려면, 법적 정의와 함께 투자자 보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금융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합니다. 또한 암호화폐의 투기성을 낮추고 안정적인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국제적인 합의와 연계된 규제 체계가 필요합니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갖춰지기 전까지 한국 증시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등 몇몇 국가에서는 가상화폐 몇 종류를 자산으로 인정해서 현물 ETF 상품을 거래할 수 있게 해주고 있는데요. 전세계 시장에서 그런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우리나라 역시도 늦지 않게 자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단기간 1년 내로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