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5.25

태양이 생기게 된 과정이 알고 싶어요.

아주 오래전부터 태양이 있지는 않았을 거라 생각되는데 이런 태양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태양이 만들어진 과정이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약 46억년 전, 태양계의 형성 초기에 태어났습니다. 태양이 탄생한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태양계의 형성

    태양계는 약 46억년 전, 태양 주변에 먼지와 기체 등이 매우 밀집한 구름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구름은 중력력을 발생시켜, 더 많은 물질을 끌어들이게 되었습니다.

    2. 중심부의 물질 덩어리 형성

    더 많은 물질이 서로 충돌하고 합쳐짐으로써 중심부에는 수많은 물질 덩어리가 형성되었습니다.

    3. 중심부의 온도 상승

    수많은 물질 덩어리들의 충돌로 인해, 중심부의 온도가 상승하며, 10만도 이상의 고온 상태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4. 핵융합 반응

    10만도 이상의 고온 상태에서는 수소 원자핵들이 서로 충돌하여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핵융합 반응은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며, 이 에너지가 태양의 빛과 열을 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5. 태양 탄생

    핵융합 반응으로 방출된 에너지는 중심부에서 발생된 것으로부터 태양의 표면까지 전달되며, 태양의 표면에서는 이 에너지가 빛과 열로 방출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태양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거대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분자 구름인 분자 구름의 중력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약 46억 년 전에, 태양 주변에 있는 이런 분자 구름이 압축되고 수축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압축으로 인해 분자 구름은 중심 부근으로 더욱 수축되며, 중심을 형성했습니다. 분자 구름의 중심 부근에서 압축은 계속되었고, 이로 인해 수많은 가스와 먼지 입자가 핵 반응을 일으키며 별을 형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압축이 계속되면서 중심 부근의 온도와 압력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수소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핵융합 반응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핵융합 반응에서 방출되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태양을 가열하고 빛을 발생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는 1.675×10-24g 의 질량을 가진 양성자와

    이 질량의 1870배 정도 가벼운 전자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질량이 없는 것이 아니에요.

    단지, 0.000000000000000000000001677 g <= 이게 수소원자 질량정도 되는겁니다.

    수소의 질량은 다른 별에 가도 변화가 없습니다만, 무게는 변하죠.

    무게와 질량의 차이는 말미에 다시 말씀 드리겠습니다.

    태양의 반지름은 지구의 109배 이며,

    태양의 평균밀도는 1.4 g/cm^3 입니다.

    지구의 평균밀도는 5 g/cm^3 입니다.

    지구의 반지름을 r이라고 두고, 지구가 완벽한 구라고 가정하면,

    "4/3파이r^3 * 5" <==구 구하는 공식에 평균밀도를 곱해주면, 지구의 질량이 나오는데요.

    "4/3파이(109r)^3 * 1.4" <==이게 지구반지름 r의 109배 되는 반지름으로 태양의 질량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나머진 약분 되니까, "109^3*1.4 / 5" 를 하면,

    지구에 비해 태양이 얼마나 무거운지 알 수 있겠죠?

    이렇게 얻은 태양의 질량은 지구보다 대략 36만배 무겁습니다.

    그러나, 지구와 태양이 완벽한 구형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는 33만배 질량이 더 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태양의 구성물질은 수소(H)와 헬륨가스(He) 그외 나트륨(Na),마그네슘(Mg),철(Fe)등

    원소 약 80여종이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중에 수소와 헬륨이 90% 가까이 존재하며, 나머지 원소들은 미미한 양이 존재 할 뿐입니다.


    질량과 무게의 차이점 알고 계신가요?

    질량은 중력에 의해 변하지 않는 절대값 같은 것이고(단, 지구 중력으로 구한것이긴 합니다만),

    무게는 행성의 자전, 공전, 중력등 모든 변수를 적용했을때의 질량은

    무게라고 정의 합니다.

    따라서, 태양이 아닌 다른 행성에 수소가 있다면, 질량은 같은 값을 가지지만,

    무게가 달라지게 됩니다.

    태양보다 비중이 높고, 인력이 더 강한 항성에 수소가 끌려 간다면,

    그 항성에서의 수소 무게는 더 무거워지고,

    더 무거워진 수소는 중심부에서 더 뜨거운온도로,

    더 많은 양의 수소가 핵융합이 일어나며,

    더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발산되다 보니까, 항성의 빛이 대체로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뜨거운 별일수록 푸른색에 가까운 색으로 보이게 된답니다.

    색에 따라 별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분광법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태양은 약 46억 년 전에 거대한 분자 구름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가설은 성운 모형이라 알려진 태양계 생성 이론인데, 구체적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거대한 분자 구름이 중력에 의해 수축하기 시작합니다.

    2. 수축하는 과정에서 분자 구름의 온도와 밀도가 높아집니다.

    3. 온도와 밀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4. 핵융합 반응으로 발생하는 에너지는 태양을 빛나게 합니다.

    5. 태양의 중력에 의해 원시 행성계 원반이 형성됩니다.

    6.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행성, 위성, 소행성 등이 형성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태양이 생성된 과정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약 46억 년 전, 원시 태양계의 태양 전신인 거대 분자 구름 내에서 수소와 헬륨 등의 가스 원소가 압축되며 중력이 강해집니다.

    2. 이러한 과정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하면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수소 원자핵이 서로 결합하면서 헬륨 원자핵이 생산되고,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3. 이러한 핵융합 과정이 지속되면서 태양의 중심부는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4. 중심부에서 방출된 에너지는 복사 에너지로 전환되어, 태양 반경을 둘러싼 대기층을 가열하면서 태양광이 발생합니다.

    5.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태양은 계속해서 수소를 헬륨으로 핵융합시키고, 수소의 양은 줄어들면서 태양의 중력이 감소합니다.

    6. 태양은 약 50억 년 후에는 수소의 고갈로 인해 성의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적색초거성으로 진화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