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와우와우위
와우와우위

자웅동체인 생물들이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그렇게 되나요?

자웅동체인 생물들이 있다고 하던데

즉 한 몸에 암,수 모두 있는 것인데

실제로 어떻게 자웅동체가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럼 임신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자웅동체 생물은 유전적으로 암컷과 수컷의 생식 세포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생물입니다. 이는 유전자 구성과 호르몬 조절 등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의 결과입니다. 자웅동체 생물은 유전적으로는 암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실제 생식 과정에서는 자기 수정을 하는 경우와 다른 개체와 교미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기 수정의 경우, 한 개체 내에서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생성합니다. 다른 개체와 교미를 하는 경우는 일반적인 동물의 생식 방식과 유사합니다. 즉, 자웅동체 생물이라고 하더라도 반드시 자기 수정을 하는 것은 아니고, 종에 따라 다양한 생식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임신 과정 역시 종에 따라 다릅니다. 일부 자웅동체 생물은 자기 수정을 통해 알을 낳고 부화시키며, 다른 일부는 다른 개체와 교배하여 알을 낳거나 새끼를 낳습니다. 자웅동체는 생존에 유리한 전략일 수 있습니다. 특히 짝을 찾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자기 수정을 통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자웅동체(Hermaphroditism)는 주로 유전적, 호르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생물들의 발달 과정에서 성 결정 유전자나 호르몬의 조절이 남서오가 여성의 생식 기관을 동시에 발달시키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달팽이와 벌레, 물고기는 이러한 현상을 보이며, 특히 환경적 압력이나 개체군의 밀도에 따라 자웅동체 특서잉 발현되기도 합니다.
    자웅동체 생물의 생식 방식은 다양합니다. 일부는 자가수정(Self-fertilization)을 통해 자신의 정자와 난자를 결합시켜 번식할 수 있으며 ,이는 유전적으로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파트너를 찾기 어려운 환경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자웅동체 생물들은 교차수정(Cross-fertilization)을 통해 다른 개체와 교배하여 번식합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개체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생식이 이루어지므로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자웅동체 생물 중에는 임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해양 무척추동물에서는 한 개체가 정자를 생산하여 다른 개체의 난자를 수정시키고, 수정된 개체가 배아를 발달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른 종에서는 수정된 난자가 외부 환경에서 방출되어 외부에서 발달하기도 합니다.
    자웅동체의 생태적 및 생물학적 이점은 상당히 큽니다. 파트너의 부재가 생존에 위협이 되는 환경에서 개체가 스스로 번식할 수 있는 능력은 생존율을 높이고, 더 넓은 지역으로의 확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암수가 한몸에있는 경우가있어

    서로 만나서 둘다 동시에 임신하거나

    혼자서 수정하고 임신하는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생물학적 다양성을위해 다른개체를만나서

    생식하는것을 더 선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자웅동체의 특성을 갖고있는 이유는 보통

    짝을 찾기 어려운환경이거나

    번식전략을 최적화한 경우입니다.

    예를들어 민달팽이나 촌충등은

    사는 밀도가낮아 서로 만나기조차어려워

    혼자서도 번식을 합니다.

    혼자 임신하여 수정하고 번식하는 경우도있고

    암수의 성 역할없이 서로 교미하여 동시에

    수정된알을 생산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웅동체는 하나의 개체가 암컷과 수컷의 생식 기관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암컷과 수컷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죠.

    보통 유전자의 조합에 따라 암컷과 수컷의 성이 결정되는데, 자웅동체는 이러한 유전적 조합이 특이하게 나타난 결과입니다.

    또 일부 생물의 경우, 환경 조건에 따라 성이 변화하기도 합니다. 온도나 먹이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암컷에서 수컷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발생 과정에서 생식 기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특별한 변화가 일어나 자웅동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자웅동체 생물의 임신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포유류의 임신과는 다릅니다.

    일부 자웅동체 생물은 자기 수정을 통해 번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자웅동체 생물은 다른 개체와의 교배를 통해 수정을 합니다. 즉, 서로 정자와 난자를 교환하여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이죠.

    그리고 자웅동체 생물의 번식 방식은 다양합니다. 난태생은 물론이고 태생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자웅동체 생물로는 지렁이, 달팽이, 그리고 일부 어류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자웅동체인동물들은 대표적으로 지렁이, 달팽이가 있습니다.

    지렁이는 서로의 배쪽에 붙어 링 처럼 맞붙습니다. 이 상태에서 양쪽의 지렁이는 서로의 정자를 상대방에게 전달합니다.

    이후에는 둘다 알을 낳는 것이지요. 수컷이지만 암컷입니다.

    달팽이도 비슷합니다.

    달팽이는 머리를 맞닿고 나선형으로 꼬아 서로의 생식기를 부착하여 정자를 교환하고 결국 둘다 알을 낳습니다.

    또 다른 케이스는 크로미스라는 물고기인데 상황에 따라 성전환이 가능합니다. 암컷에서 수컷이 되거나 수컷이 암컷이 되는데 같은 성별이 만나면 둘중 하나는 성전환을 하여 짝짓기가 진행됩니다.

    암컷 수컷의 구별이 없는 이러한 생식형태는 개체수를 많이 퍼뜨릴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적절치 않는 환경에서 적은 수의 개체로도 유연하게 번식할 수 가 있는 것이지요.

  • 자웅동체는 암수의 생식 기관을 동시에 가진 생물로, 주로 달팽이, 지렁이 같은 무척추동물에서 발견됩니다. 이는 생식 전략으로, 짝을 만나기 어려운 환경에서 번식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자웅동체 생물은 스스로 수정하거나(자가수정), 짝을 만나 상호 교배하는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임신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자가수정의 경우 한 개체가 암수 역할을 모두 수행하여 수정란을 만들고, 상호 교배 시에는 상대방과 유전자를 교환해 수정란을 형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자웅동체 생물은 암수 생식 기관을 모두 가지고 있어

    스스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개체와도 교배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자웅동체는 다양한 환경적, 사회적 조건 하에 번식 성공을 극대화하는 진화된 번식 전략입니다. 짝이 없을 때도 자가 번식을 보장하지만,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