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대한남아
대한남아

26개월 아이들은 원래 짜증이 많나요?

저희 아이가 26개월이 되면서 짜증이 급증했습니다. 급발진하듯이 갑자기 짜증내면서 소리지르고 웁니다. 심할 때는 자다가도 소리지르고 울면서 깹니다. 저희 아이만 그런 줄 알았는데 같은 어린이집 또래들이 대부분 그렇다고 하더라고요. 왜 그런거죠? 지나가시던 할머니께서 들으시고는 애들이 크려고 그러는거라 하시던데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있는 현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6개월경 아이들이 짜증내고 고집을 부리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그렇게 표현합니다.

      어른이 보기에는 별것 아닌거 같아도 아이에게는 아주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는 이유는 자기만의 감정표현 입니다.

      언어로 말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짜증을 내면서 자기 감정을 표현하는 것인데요.

      하지만 자면서 짜증을 내며 우는 것이 아니라면 아이가 짜증을 내고 운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짜증을 내면서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고, 왜 짜증을 내면서 울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더 중요한 것은 아이가 그날 안 좋은 경험을 한 것은 없는지, 스트레스 받을만한 일은 없었는지를 생각해 보시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 보면서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본인의 주관이 뚜렷해지는 시기임으로 짜증을 많이 낼겁니다. 적당히 조율을 해주셔서 성격이 나빠지지 않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 아이가 감정조절을 하는법을 잘몰라서 그럴수있습니다.

      자신이 하는것에 대해서 잘안되거나 하면 언어적 표현을 잘못하기에 짜증을 내거나 하면서 표현할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로 표현이 잘 되지 않는 이 시기에는 아이를 공감하고 마음을 읽어주는 부모님의 역할이 아주 중요해요. 아이가 짜증을 낸다고 부모님도 짜증이 나서 화를 내거나 나 몰라라 하는 경우 아이는 나의 감정과 욕구를 제대로 알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나의 자연스러운 욕구 표현이 부정적인 결과를 일으킨다는 경험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없게 되는데 오히려 부모님께서 적극적으로 아이의 불편함을 함께 찾아봐 준다면 결국에는 답을 찾게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6개월 아이는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워 감정을 행동으로 표출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와 소통하여 이해하려 노력해 주시면 짜증이 덜해 질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아이와 많은 대화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짜증이 많은 아이들의 경우 아이들이 아직 감정표현의 방법이

      서투르기 때문에 보이는 모습일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여러가지 감정표현의

      방법을 알려주시는 것으로 아이의 짜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관련 동영상 등을 보여주시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잠을 자다가 소리를 지르면서 깨고, 우는 것은 아마도 아이가 원더윅스가 오게 되면 이런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더윅스는 아이가 급성장 하는 시기입니다.

      자연스럽게 이 시기가 지나가기를 바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영아들은 언어가 아직은 미숙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것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엔,

      떼를 쓰거나 고집을 부리는 것으로 자신의 의사 표현을 합니다

      이럴 땐 부모님이 아이의 마음을 대신 읽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아이가 보채는 시기가 되는 것이

      인지도 늘어나고 하기 때문에 늘어난다고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한 훈육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