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에는 여러가지의 풍자소설이 등장했는데 이중에서 배비장전은 조선 사회에 대한 여러가지 풍자를 했는데 어떤 의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조선 후기에는 여러가지의 풍자소설이 등장했는데 이중에서 배비장전은 조선 사회에 대한 여러가지 풍자를 했는데 어떤 의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배비장전」의 방자는 판소리
사설이나 판소리계 소설에서 작가의
목소리를 개입시키는 장치로
형상화되는 인물유형의 하나로
주목될 수 있다. 이 작품은 위선적인
인물 또는 위선적인 지배층에 대한
풍자를 주제로 하는 작품으로 이해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배비장전은 조선후기에 유행한 작자미상의 한글 소설입니다
판소리로 배비장타령으로 불려오다가 소설화되었고 판소리로 널리 불렸다는것은 그만큼 이 이야기가 서민들의 정서에 잘 맞았음을 의미합니다
이 작품은 성에 대한 풍자를 통해 시종일관 노골적인 성 표현과 해학적인 웃음을 유발하여, 상층에서 내세우는 경화된 관념을 부정하고, 하층에서 얻은 발랄한 지혜를 긍정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비장전은 관인사회의 말단 벼슬인 비장과 함께 방자 , 기생 등 사회의 하층계층들을 주인공으로 하여 소설의 친근감을 더 했으며 배비장의 신분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 작품의 해석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배비장전은 여색에 빠지지 않겠다고 호언장담하던 배비장이 제주목사의 명을 받은 기생 애랑과 방자의 계교에 속아 망신을 당한다는 내용의 실전판소리 작품입니다.
배비장전의 근원설화로는 태평한화골계전에 실려있는 발치설화와 동야휘집에 실려있는 미궤설화가 거론됩니다.
베비장전은 판소리사에 있어 매우 이른 시기의 기록이라 할 수 있는 만화 유진한의 <가사 춘향가 이백구 >에 이미 확인되었고 이에 제주에선 배비장의 이빨을 남겼듯 이라는 <가사 춘향가 이백구>의 제82구를 근거로, 배비장전의 형성 연대를 18세기 초중엽으로 소급하기도 합니다.
기록상으로 보았을때 배비장전은 춘향가와 함께 그 형성 연대가 가장 앞서는 작품으로 볼수 있습니다.
가사 춘향가 이백구에서는 배비장이 기생에 홀려 이를 뽑는 장면을 배비장전의 가장 주요한 사건으로 보고 이 기록을 통해 당시 판소리 창자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있던 배비장 관련 사서가 발치사건이라 추정하며 이는 현재 사설로 남아있는 배비장전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현전 배비장전에서는 배비장이 아닌 정비장이 작품 초반에 이를 뽑히게 되며, 작품의 주축을 이루는 서사 역시 발치사건이 아리나 배비장의 훼절 사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