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2.20

우리나라에 최초에 우체국은 언제 도입되었나요?

우체국이 언제 우리나라에 역사상 처음 도입되었는지 처음 생긴 우체국은 어디인지 그때 당시는 어떤 업무를 했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의 최초의 우체국은 우정국 입니다.

    조선 후기 우체업무를 관장한 관청입니다.

    한국 최초의 우편행정관서로서, 1884년(고종 21) 종래 역참제에서 탈피하여 근대적 통신제도를 도입하여 그 운영을 위해 설치하였습니다. 병조참판 홍영식이 총판에 임명, 박영효 등 15명이 사사가 되어 사무를 분담하였으며, 견평방에 있던 전의감을 개수하여 청사로 사용하였습니다.

    조선정부는 처음으로 일본 ·영국 ·홍콩 등 외국과 우편물교환협정을 체결하고, 11월 17일 역사적인 근대적 우편제도의 사무를 개시하였습니다. 이때 서울의 총국과 인천의 분국이 제1차로 개국하였습니다.

    그러나 12월 4일 우정총국 청사의 개업축하연에서 벌어진 갑신정변으로 12월 9일 폐쇄되었으며, 1895년 우체사가 설치될 때까지 10년 동안은 다시 구제인 역참에 의한 통신방법이 계속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국 최초의 우체국은 1884년 5월 6일에 설립된 경상북도 포항 우체국입니다. 이후, 1886년에는 첫 서울 우체국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1897년에는 대한제국 우편국으로 개칭되어 전국에 우편국망을 구축해 나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우체국은 인천에서 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1884년에 우정총국 인천분국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그해에 업무가 폐지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 우체국, 다시 문 열었다 - 정책뉴스
    https://www.korea.kr › news › policyNewsView

    2012. 8. 28. — 서울 종로구 견지동에 있는 우정총국이 1884년 갑신정변으로 문을 닫은 지 128년 만에 우체국 기능을 갖추고 국민과 함께 호흡하는 공간으로 재탄생 ...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역사편집


    1882년 12월 통리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내에 우정사(郵政司)가

    설치되었다. 조선정부는 처음으로

    일본, 영국, 홍콩 등 외국과 우편물교환협정을 체결하고, 1884년 11월 18일(음력 10월 1일) 최초로 근대적인

    우편 활동을 시작하였다.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