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상한호아친123
고상한호아친12324.02.15

한국 역사 속에서 계속 등장하는 단어 사대주의는 어떤 유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반도의 역사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사대주의라는 단어입니다.

강대국에게 조아리는 것으로 사대주의가 이해되는데

이런 사대주의는 어떤 유래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는 맹자의 말에서 나왔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제나라의 선왕이 맹자에게 웃 나라와 교린을 맺는데에도 도가 있습니까라고 물었으며 이에 맹자는 도가 있습니다. 오직 지혜로운 사람만이 작은나라 임금으로서 큰 나라를 섬길 수 있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事大)라는 말은 우리 역사에서 존재한 외교정책이었으며, 국제 질서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정책입니다. 그러나 사대주의는 자국보다 강한 국가, 세력에 복종하거나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주의로 20세기 초반에 국수주의자들이 크고 강한 국가에게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당시의 지배층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라느 단어는 원래 조선 시대 등에는 없던 말 입니다. 20세기 초반에 국수주의자 들이 크고 강한 국가에게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당시의 지배층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든 말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는 큰 나라를 섬기는 사상을 의미합니다. 중국은 자국중심의 모화사상을 주변국들에게 강요하였습니다. 사대주의와 모화주의를 합하여 사대모화라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