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1.08

과거 한반도 왕조의 사대주의는 언제부터 시작됐나요?

조선시대의 여러 사건에서 사대주의로 인한 명분때문에 실리를 챙기지 못하고 많은 전쟁을 겪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사대주의는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 한대에 이르러 중국에 통일왕조가 성립되자 왕조 내에서 군신 관계의 표현 형태로 이웃나라와 조공과 책봉 외교가 확립되었습니다. 중국과 이웃나라 사이에 책봉관계가 설정되면, 책봉을 받은 나라의 통치자는 중국 황제로부터 책봉을 알리는 고명(誥命)과 인신(印信)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도 4세기 이후 고구려 · 신라 · 백제가 모두 중국의 여러 나라들에 사대를 하고 책봉을 받으면서 우호관계를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삼국시대 이후 모든 나라들이 한결같이 사대 · 책봉을 받은 것은 아닙니다. 이 관계가 정형화된 것은 조선시대부터입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와 같은경우 유교와 함께 들어온것입니다.

    그렇기에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그 이전에는 사대주의가 거의 없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