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 말 코로나19 판데믹 선언 이후 미국,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은 판데믹 하에서 경기를 살리기 위해 막대한 유동성을 거의 제로금리로 시중에 공급했습니다. 시장에 인위적으로 푼 유동성은 반드시 회수를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재정 정책의 일환이 금리 인상입니다. 최근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시중에 자금이 늘어나 경제에 활력을 주고 자산 가격 상승을 초래 해서 기업과 개인들의 투자 및 소비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한 국가가 관리 가능한 유동성 규모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경기는 일종의 사이클이 있어 경기가 어느 정도 살아 나면 냉각 기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맞습니다. 단, 이 돈이 너무 과도하게 풀리게 되면 소위 '물가상승의 공포(i의 공포)'가 생기게 되고, 물가 안정 & 성장을 최우선 정책 목표로 삼는 중앙은행의 입장에서는 금리를 올려 어느정도 경기과열에 제동을 걸어줄 필요성이 있어서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동성이 많다는 것은 그 가치가 점점 낮아진다는것을 의미합니다.동일한 물건이 많으며 가치가 떨어지고 적거나 희소성이 있으면 가치는 더욱더 올라갑니다..1만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1만원이 아이들에게도 흔하게 있는 동전처럼 많다고 하면 그 1만원 가치는 더욱더 작아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