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24.04.20

2024년 하반기 경제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2024년 하반기에는 금리를 인하할 거란 전망도 많이 나오고 있는데 2024년 하반기 경제 전망은 어떻게 보시는지 전문가님들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도 하반기 경제 전망의 경우에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면서 경기 위축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요. 특히나 원유 가격이 지금과 같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우리나라는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해서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런 경우 부채리스크가 크게 확장되면서 연체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아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계속 좋을것 같으나, 한국과 같은 신흥국은 안좋을거라 예상됩니다. 유가의 급등과 환율 강세로 금리 인하 시기는 계속 지연되어

    가계부채가 계속 증가하여 쉽지 않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동전쟁만 조금이나마 더 나아진다면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제도 지금보다는

    더 나아지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 하반기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이 공존하는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우선 낙관적 전망부터 살펴보면,

    1. 인플레이션 안정

    -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점차 해소되고 원자재 가격도 안정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있습니다.

    2. 금리 인하 기대

    -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경기 둔화 우려가 높아지면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 이는 차입 비용 부담을 완화해 투자와 소비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정책 지원 지속

    - 경기 하방 리스크에 대응해 각국 정부가 재정 지원을 지속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특히 주요국의 인프라 투자, 그린 에너지 전환 등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다음과 같은 리스크 요인도 상존하고 있습니다.

    1. 경기 침체 가능성

    - 주요국 긴축 정책의 영향이 본격화되며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시각도 만만치 않습니다.

    - 특히 민간 소비 위축, 기업 실적 악화 등이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지정학적 불확실성

    -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습니다.

    - 이는 글로벌 교역을 위축시키고 금융시장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자산시장 불안

    -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그 시기와 폭은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 자산시장은 금리 기대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종합해보면 2024년 하반기 경제는 회복 기대감과 리스크 요인이 혼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플레이션 안정, 금리 인하 등이 경기 반등을 뒷받침할 수 있지만 그 속도와 강도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엇보다 불확실성이 큰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 핵심 경제지표의 흐름을 꼼꼼히 모니터링하며 대응 전략을 세워나가야 할 것입니다.

    기업과 가계 역시 단기 전망에 휘둘리기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력을 다지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어려운 시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모색하는 지혜가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의 하반기 경제 전망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금리 인하 가능성 자체가 지연되고 있기에

    한국도 하반기에 금리 인하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해결되기 위해선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나 실업률 등이 연준이 원하는 수치에 맞게 나와야 하고

    설마 미국이 금리를 내린다고 해도 한국이 곧바로 내릴 수 있을지에 대해선 미지수입니다.

    그렇기에 한국의 2024년 하반기 경제도 현재만큼이나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