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고귀한거미8
고귀한거미822.12.11

탄산음료 흔들면 넘치는 이유?

탄산음료를 손으로 막 흔들었다가 따면은 폭포수처럼 넘치잖아요. 어릴적 이렇게 장난치고 많이 놀았던 기억이 있는데

어떤 원리로 이렇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상인입니다.


    일단 탄산이 톡 쏘는 원리는 물에 녹아있던 탄산이(H2CO3)가 물(H2O)를 내놓으면서 이산화탄소(CO2)를 방출해서입니다. 한마디로, 입 안에 넣었을 때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내놓으면 더 톡 쏘는거죠.

    기본적으로 포화상태인 차가운 탄산 수용액을 마신다면 입 안에서 온도가 올라가서 이산화탄소를 내놓습니다. 하지만 물론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나오면 나올수록 좋기 때문에, 이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강제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물에 때려박아서 과포화상태로 만드는 겁니다. 기체가 되기 위해서는 약간의 활성화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물이 증발하거나 끓을때 주변의 에너지를 가져가는 것 처럼) 가만~히 놔둔다면 그대로입니다.

    하지만 과포화 상태일 때는 매우 불안정합니다. 콜라가 흔들리면, 다시말해 운동에너지가 가해지면 그게 활성화에너지로 바뀌어서 이산화탄소가 급격하게 나오는거죠. 물론 열을 가해도 마찬가지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