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너의목소리가들려
너의목소리가들려

현재 미국의 관세 정책이 국내 정유/화학사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될까요?

미국이 자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 대해 엄청난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수출, 그 중에서도 대미수출에 의존도가 높습니다. 중국,인도는 내수도 활발하고 중국과 인도로는 우리가 수출하고자 해도 가격경쟁력이 없지요. 그래서 이러한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삼성, 현대자동차 는 미국으로 실제 생산지를 옮긴 상황입니다. 그러나 쉽게 옮길 수 없는 정유나 화학공장의 제품들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이대로 사양산업이 되는 걸까요? 전문가분의 답을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높은 관세는 국내 정유화학사에 꽤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자동차나 전자처럼 공장을 옮기는 건 가능하지만 정유화학은 시설 투자 규모도 크고 이전 자체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수출길이 막히면 다른 시장을 찾아야 하는데, 중국인도는 이미 내수 기반 강하고 가격경쟁력도 밀리는 상황이라 진출이 쉽지 않은 상태입니다. 국내 정유화학사들은 그래서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돌리거나 아예 미국 내 합작투자 같은 방식으로 대응하려고 시도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석유화학 제품에 대한 미국 수출비중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엄청나게 높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라 관세가 높은 수준으로 부과된다면, 이에 대한 피해는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http://www.haes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548

    또한 정유화학공장은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해 현지 생산이전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석화사 특성상 실제 관사 부과 등 뿐 아니라 공급/수요에 의한 원유나 석유화학 제품의 가격추이를 잘 살펴보아야 할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정유·화학공장은 수십 년 단위의 대규모 투자와 복잡한 기술 인프라, 원료 수급 체계에 기반하기 때문에 현지 이전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러한 제품은 단가가 낮고 부피가 커 운송비 부담도 크기 때문에 미국 내에서 현지 생산을 고려해도 경제성이 떨어질 것입니다. 관세라는 외부 리스크에 직접 노출되는 정유·화학 산업은 미국향 수출 비중이 높은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타격을 받을 수 있지만, 제품 포트폴리오 재구성, 탄소중립 기술 확보, 신흥시장 공략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고 합니다.